경제·금융

증권업협.코스닥증권시장 업무 마비상태

코스닥위원회 인선이 늦어지면서 코스닥 등록업무가 마비된 상태이며 이달중으로 개설예정인 제3시장 지정업체 선정도 아직 확정되지 않고 있다.또 코스닥시장 동시호가제도 및 가격제한폭 확대 등에 대한 개선책도 마련되지 않고 있어 증권업협회와 코스닥증권시장이 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코스닥위원회 인선작업이 늦어지면서 지난해 코스닥등록 신청을 한 기업들이 3개월이 넘도록 등록심사를 받지 못하고 있어 자금조달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 1월 최운열 코스닥위원장이 물러난 뒤 두달 가까이 코스닥위원장이 공석중이어서 인선작업 및 등록심사 업무에 차질이 발생, 등록승인 및 예비심사 등 시장운영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다. 특히 지난해 3개 업체가 등록예비심사 청구서를 이미 제출했지만 코스닥위원회가 열리지 못해 오는 15일로 심사가 미뤄졌다. 협회중개시장 운영규정에는 청구서를 제출한 지 2개월안에 심사결과를 알려주도록 되어 있다. 협회가 자체 규정을 어기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오는 3월말 개설예정인 제3시장에 진입하는 업체들의 신청접수 업무도 늦어지고 있다. 더군다나 심사인원이 턱없이 부족해 제대로 된 심사가 이루어질지 걱정하는 목소리도 높아가고 있다. 증권업협회와 코스닥증권시장은 금융감독위원회가 제3시장 개설일을 공식적으로 발표해야지만 이를 기준으로 신청수 접수, 기업선정 등의 업무를 전개할 것이라는 답변을 되풀이하고 있다. 현재 코스닥증권과 증권사, 전산증권 등이 전산매매시스템을 점검하고 있지만 다급하게 업무를 진행하고 있어 제3시장 개설일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협회는 아직까지 제3시장 지정신청서도 접수하지 않고 있으며 심사인원도 크게 부족해 신청업체들이 제3시장 지정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 제대로 파악하기에도 버거운 상황이다. 이에 더해 투자자들은 코스닥시장의 동시호가제도가 매매주문에 대해 기본수량을 균등히 배분한다는 기본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등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지적하고 있지만 시정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거래소시장의 경우 오전 8시부터 9시까지 시간순서에 관계없이 물량을 균등배분하고 있지만 코스닥시장은 제일 먼저 주문을 낸 투자자에게 과다 할당하는 시스템을 고수하고 있어 특정세력이 물량을 독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 가격제한폭이 거래소의 상하 15%보다 낮은 상하 12%여서 투기적 요소가 더 강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대응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서정명기자VICSJM@SED.CO.KR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