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업단지 클러스터화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지난 60년대 이래 산업화 시대를 거치면서 국가산업단지 등 500개가 넘는 크고 작은 규모로 전국 각지에 걸쳐 조성돼 있다. 이들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절반을 차지하고 수출은 71%, 고용은 37%를 담당하고 있다. 국가경제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다하고 있는 셈이다. 산업단지를 빼놓고는 국민소득 2만달러 조기 진입을 논할 수 없을 것이다. 현재 우리 산업단지는 구미(전자), 창원(기계), 광주(광산업) 등과 같이 지역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상당한 집적화가 이뤄져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제조업을 위주로 생산기능에 중심을 두고 있어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선진국의 클러스터와 같이 제조업과 대학ㆍ연구기관의 네트워크 구축에 바탕을 둔 혁신능력으로 지역사회 발전을 이끌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도 이제 지식기반 시대를 맞아 기존의 산업단지를 활성화시키는 쪽으로 산업단지를 탈바꿈시켜야 한다. `산업단지화`된 우리 경제의 특성을 잘 살려서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꾀하려면 기존 산업단지의 기능을 혁신적으로 높힘으로써 기존 입주업체들이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산업기반 시설을 바탕으로 산업생산과 연구개발, 그리고 기업지원의 3개 부문을 효율적으로 연계시켜 산학연 네트워킹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산업단지 혁신 클러스터를 조기에 구축하기 위해서는 첫째, 산학연 네트워크 허브와 카페 등을 통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 둘째, 연구소와 지원기간 등 혁신기관을 유치하며 셋째, 노후화된 산업단지의 재정비를 통해 입지환경도 개선해나가야 한다. 대학의 우수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에 있어 산업현장과 접목된 프로그램 개발 등 대학교육과 산업현장의 괴리를 없애도록 하는 산학협력체계의 내실화도 중요한 과제다. 올들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시행으로 산업단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 발전하는 지역혁신체계 구축의 성공모델로서 산업단지야말로 핵심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지난 40여년간 국가경제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다해온 산업단지가 혁신 클러스터의 중심지로 탈바꿈해 우리 모두에게, 특히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꿈과 희망의 터전으로 다시 태어나길 간절히 기대한다. <김동근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