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공립 예술기관 '초대권' 폐지

내년 1월까지… 음악 등 장르별 명예의 전당 조성도

SetSectionName(); 국공립 예술기관 '초대권' 폐지 내년 1월까지… 음악 등 장르별 명예의 전당 조성도 정승양기자 schung@sed.co.kr

공연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온 국공립 예술기관의 초대권이 다음달부터 내년 1월까지 단계적으로 폐지된다. 또 음악ㆍ연극ㆍ미술 등 장르별로 명예의 전당이 조성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9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10년 하반기 중점추진 예술정책'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에 따르면 예술의전당ㆍ국립오페라단ㆍ국립발레단ㆍ서울예술단ㆍ정동극장ㆍ국립중앙극장ㆍ국립국악원 등 7개 기관은 당장 오는 7월부터 초대권을 내지 않는다. 명동예술극장ㆍ국립합창단ㆍ코리안심포니 등 3개 기관은 7월부터 전체 객석의 20%로 초대권 물량을 축소하고 내년 1월부터는 전면 폐지한다. 유인촌 문화부 장관은 "이들 10개 국공립 예술기관의 지난해 초대권 물량이 전체 객석의 평균 37%에 달해 관람료 인상 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기관별로는 국립합창단 63%, 국립국악원 48%, 국립오페라단 47%, 국립극장 45%, 서울예술단 44%, 예술의전당 음악당 27% 순으로 초대권 비율이 높았다. 명예의전당은 국립국악원(전통예술), 대학로 예술가의 집(연극ㆍ무용ㆍ문학), 예술의전당(음악) 등 장르별 공연 및 전시장의 로비 공간 등에 해당 분야의 명인 사진이나 흉상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조성된다. 문화부는 또 2011년~2012년 2년간 이뤄지는 국립극장 등 4개 기관 공연장의 대관일정과 문화예술위원회 등 4개관의 문화예술 분야 국고지원 공연작 선정을 10월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한편 문화부는 이날 '문화예술교육발전방안'과 '방송콘텐츠제작 시스템 선진화' 방안도 함께 발표했다. 예술교육의 경우 지난달 서울에서 개최된 제2차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방향을 '전국민 평생 문화예술교육 환경구축'으로 잡았다. 이를 위해 정책대상을 학교와 취약계층 등 소수자에서 전국민으로 확대하고 예술강사의 상시연수체제 도입, 예술을 통한 사회통합 및 치유기능 강화,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제 강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