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자의 눈] 통일부의 역할 부재

이현호 기자<정치부> 요즘 통일부 역할 부재에 대해 말들이 무성하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인 류우익 장관 취임 100여일 가량이 지나면서 더 그렇다. 기대와 달리 장기화되는 남북관계 경색이 제자리걸음인데다 최근에는 북한이 류 장관에 대한 비난은 물론 청와대를 불바다로 만들겠다는 말까지 서슴지 않고 있어 남북관계 경색에 대한 국내외 우려가 커지기 때문이다. 지난 8ㆍ30 개각에서 류우익 전 대통령실장이 내정되면서 통일부에 대해 기대감은 현정부 들어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았다.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이 신임장관으로 오는 만큼 장기화되는 경색된 남북관계의 실마리가 풀릴 것이라는 희망이 다. 그러나 석달이 지난 지금. 당시 류 장관에 대한 기대감은 그것으로 끝이었다. 통일부의 소극적 소통 행보가 가장 큰 역할 부재론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일례로 정부가 국제구호단체인 독일 카리타스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을 통해 북한 어린이 100만명에게 간염 예방백신을 전달한 사실을 감추거나 고려 왕궁터인 개성 만월대 발굴사업을 숨기며 쉬쉬하다 뒤늦게 보도자료를 내는 해프닝이 있었다. 심지어 주요 현안에 대한 기자들의 취재에 대해 “왜 자꾸 알려고 하느냐“는 황당한 답변을 내놓아 출입기자단과 마찰을 빚기 일쑤다. 장관이 보여주기식 대외행보에 나서도록 하는 실무진의 보좌도 문제로 꼽힌다. 이례적으로 류 장관은 취임하자마자 잇따라 미국과 중국을 방문하고 고위급 관계자들을 접촉했지만 실속 없는 인물들만 만나 성과 없는 의욕만 앞선 행보라는 지적을 받았다. 원칙만 내세우는 보수적 관점보다 한 발 양보하는 유연한 정책 판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연평도나 천안함 사건 같은 북한의 도발행위와는 별개로 이산가족 상봉 같은 문제는 인도적 차원에서 먼저 제안하고 손을 내밀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류 장관 취임 때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이산가족 상봉을 먼저 제의하고 남북 경협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게 정답일 수 있다. 여하튼 통일부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에 부응할 수 있는 역할을 강화하길 바란다. /hhlee@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