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국민소득 2년내 2만弗"

무디스 번 부사장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의 토머스 번(사진) 부사장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이르면 오는 2007년에 2만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재벌의 지배구조와 북한 핵 문제, 노동시장 경직성 등이 한국 경제성장을 가로막고 있으며 신용등급 상향 결정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번 부사장은 코리아소사이어티가 22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에서 개최한 강연에서 ‘무디스가 본 한국경제와 신용등급’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2008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힌 것은 합리적인 목표”라며 “개인적으로 이르면 2007년에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낙관적으로 말했다. 번 부사장은 그러나 스탠더드앤푸어스(S&P), 피치 등 다른 신용평가기관들이 6자 회담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한국 신용등급을 올리고 있는 것과 달리 “북한 핵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그는 “지난 94년에는 제네바합의가 깨졌고 2002년과 2003년에는 북한이 긴장관계를 조성한 것이 신용등급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6자회담을 포함해 남북관계가 좋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결과를 낙관할 수 없고 막대한 통일비용도 문제점으로 남아 있어 신용등급 상향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경제에서 삼성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이 과거 제너럴모터스(GM)가 미국경제에서 차지했던 비중보다 더 커지고 있다”며 “하지만 아직도 많은 한국의 재벌 오너들은 적은 지분을 가지고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소액주주 보호에도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번 부사장은 한국의 신용등급 ‘A3’가 너무 낮다는 의견에 대해 “한국의 신용등급은 결코 낮지 않다. A3는 나쁜 등급이 아니다”며 당분간 등급조정이 없음을 내비쳤다. 그는 “중국의 신용등급이 한국보다 높은 것은 막대한 외화보유고와 튼튼한 정부재정, 성공적인 금융개혁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