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매각대안 '전략적제휴' 내세워

정상화·매각 병행주진속 절충점 선택■ 도이체방크 하이닉스 정상화 방안 도이체방크가 6개월 만에 마련한 정상화 방안의 골자는 크게 두 가지다. 정상화(현실론)와 매각(원칙론)을 병행 추진하되 '전략적 제휴' 방안을 매각론의 대안으로 내세운 것이다. 하지만 도이체방크의 자문안이 효력을 발휘하기에는 ▦약세로 돌아선 반도체 가격 ▦거세지는 통상압력 등 도처에 악재들이 산재해 있다. 정권 막바지에 구조조정을 추진할 당국의 힘도 현저히 약화됐다. 결국 채권단 스스로 얼마나 신속하게 구조조정안을 집행할 수 있을지가 생존의 관건인 셈이다. ◇구조조정안, 현실과 원칙의 접점 도이체방크는 실사 초기 '선(先) 정상화-후(後) 매각'을 토대로 한 잠정 보고서를 마련했었다. 이는 매각 불가피론을 앞세운 정부에 퇴짜를 맞았다. 그리고 내린 결론이 정상화와 매각의 병행 추진이다. 매각론이 전면으로 등장한 셈이다. 하지만 실제 추진 방식에서는 기존안과 별반 차이가 없다. 매각을 병행 추진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인수할 대상이 없기 때문이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정상화가 시급하다는 현실론과 어차피 매각해야 한다는 명분론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은 것"이라고 평했다. ◇새 대안으로 떠오른 전략적 제휴 이번에 새롭게 불거진 것이 제3의 반도체 업체와 전략적 제휴 방안이다. 어차피 원매자가 당장 나타나지 않을 것에 대해 매각 사전작업의 일환으로 우선 추진하자는 것이다. 일본ㆍ타이완ㆍ독일 등 각국 업체들 사이에 제휴를 통한 짝짓기 바람을 불고 있는 점도 고려된 듯하다. 제휴 방식은 ▦지분 부분 맞교환 ▦기술 및 마케팅 제휴 등 다양한 방안 등이 거론될 수 있다. 전략적 제휴를 추진했었던 마이크론ㆍ인피니온은 물론 일본ㆍ타이완 업체들도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란 게 정부 관계자의 전언이다. ◇문제는 시간 하이닉스는 올들어 1조원을 넘긴 누적적자와 회사채 상환 압력 등 현금 고갈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내년 1월 신용보증기금이 보증하는 채권담보부증권(CBO)나 대출담보부증권(CLO)에 편입되지 못한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면 버티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도이체방크도 이런 상황을 감안, ▦무담보채권의 50%(1조8,500억원)를 출자전환하고 ▦나머지 채권은 이자의 50% 지불유예와 만기를 2∼3년 연장하는 채무재조정안을 내놓았다. 관건은 채권단의 의지다. 특히 채권의 35%를 가진 2금융권의 동의 여부가 미지수다. 감자에 대한 소액주주들의 반발도 변수다. 또 정부 보조금에 대한 미국 정부의 조사가 진행 중인데다 정권 말기 당국의 '보이지 않는 힘'도 약해진 상황이라 채무재조정이 제대로 이뤄질지는 전혀 속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