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권, 4兆원 자금 마련 '부심'

채권 매각·예금등 활용땐 BIS비율 하락 우려<br>펀드 신용보강·유동성 비율산정 제외등 요구


은행권이 채권시장안정펀드 조성 문제로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24일 채권시장안정펀드에 대해 최대 5조원까지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시중은행은 자금조성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펀드 규모는 총 10조원으로 출발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이 밝힌 대로 산업은행이 2조원을 내고 한은이 펀드의 최대 50%까지 지원하게 되면 은행 등 금융회사들은 4조원을 분담해야 한다. 은행권은 펀드 조성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보유 국고채 등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BIS 비율이 하락하고 유동성 비율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펀드 자금에 대한 유동성 비율 산정 제외 등의 보완책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권의 펀드 분담 규모는 각 회사별 자산 규모에 따라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이 덩치가 크기 때문에 가장 많은 부담을 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권, 채권매각ㆍ예금 등으로 재원조성=은행들은 펀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보유 채권을 팔거나 예금 등을 활용해야 한다. 은행 자산 사이즈마다 분담 규모는 다르겠지만 금융권이 4조원을 분담할 경우 우리은행은 3,000억원 안팎을 자체 조성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연기금이 펀드에 참여하면 그만큼 분담 규모는 작아지지만 연기금은 펀드 조성 이전부터 채권시장 경색 완화를 위해 은행채ㆍ회사채를 매입해온 터라 펀드에 직접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연기금은 산업은행이 펀드 자금 마련을 위해 발행하는 산금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간접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은행권은 보유 국고채나 은행채를 시장에 내다팔아 펀드 재원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 BIS 비율이 떨어지게 된다. 국고채 등 국가가 보증하는 안전자산은 위험가중치가 낮은 반면 펀드 조성 자금은 회사채ㆍ카드채ㆍ할부채 등 비정부 보증채를 편입하기 때문에 위험가중치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은행권, 펀드 신용보강 등 대책마련 촉구=은행권은 펀드 조성으로 BIS 비율이 떨어지는 등 부작용이 생기는 만큼 펀드에 대한 신용보강 등을 통해 대책을 세워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회사채ㆍ카드채 매입 등으로 위험가중치가 높아지는 만큼 정부 지급보증이나 신보의 신용보강 등을 통해 위험가중치를 최대한 낮춰 BIS 비율의 하락을 막아달라는 얘기다. 이와 함께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일반 채권형 펀드와 달리 조기 환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동성 자산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예외적 조치로 유동성 자산으로 간주해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은행이 보유한 국고채ㆍ은행채 등은 언제든 팔 수 있는 유동성 자산으로 분류되지만 채권시장안정펀드는 당장 현금화할 수 없어 유동성 비율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