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발암물질 대부분 대기중 배출

석면·벤젠등…재작년 화학물질 최소 3만4,000톤 발생

지난 2002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화학물질은 최소 3만4,000톤이며 이중 99.6%가 대기 중으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발암물질 배출량은 2001년 1,679톤에 비해 26%가 감소한 1,241톤이었으나 1급 발암물질로 확인된 ‘석면’의 경우 오히려 2톤 이상 늘어났고 이 대부분이 굴뚝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전체 발암물질의 95%를 차지하는 ‘벤젠’과 ‘염화비닐’도 대부분 대기로 배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부가 2002년 한해 동안 전국 화학물질 배출업체 1,199곳을 대상으로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대구가 6,833톤(19.9%)으로 가장 많았고 ▦울산 4,978톤(14.5%) ▦경남 4,014톤(11.7%) ▦경기도 3,714톤(1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01년에는 ▦전남(7,154톤) ▦울산(6,858톤) ▦경북(5,763톤) ▦경남(3,175톤) 순이었다. 전남과 경북의 화학물질 배출량이 대폭 줄어든 것은 포스코와 광양제철이 황화수소 배출량을 1,700톤에서 2,000여톤씩 줄였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광양제철 국가산업단지와 포항국가산업단지의 황화수소 배출량은 2001년 1,799톤과 2,419톤에서 2002년 각각 56톤과 101톤으로 줄었는데 줄어든 양의 대부분은 고형화처리돼 자가매립됐다. 산업단지별로는 석유정제ㆍ화학업종이 밀집한 울산 미포가 전체 배출량의 11.6%(3,962톤)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전남 여수(2,695톤) ▦경기 반월(1,219톤) ▦서울(1,157톤)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 배출량은 울산이 지난해(1,691톤)에 이어 올해(1,324톤)도 가장 많았고 ▦전남(964톤) ▦전북(845톤)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1급 발암물질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원료물질인 염화비닐 640톤, 벤젠 537톤 등 모두 1,247톤이 배출됐으며 이 또한 울산(44.3%)이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전남(39.4%), 충남(8.2%) 등이 이었다. 1급 발암물질의 95%를 차지하는 벤젠과 염화비닐의 대부분은 대기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각 기업체별로 오염물질 배출량을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현재 이와 관련된 법안이 법제처 심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