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인구이동과 일자리

요즘 지방 중소도시나 시골에서 인구가 줄어드는 현상, 특히 한창 일을 할 젊은층의 인구가 감소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왜냐하면 인구감소로 인해 해당 지역경제에서는 일자리가 줄어들고 성장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젊은층 인구의 유출은 지역의 역동성을 떨어뜨릴 수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역경제의 성장과 고용을 설명하는 이론은 크게 수요이론과 공급이론으로 나눠진다. 수요이론은 특정 지역의 일자리 수가 변화함에 따라 타 지역으로부터 인구가 유입되거나 또는 유출된다는 이론이다. 이에 비해 공급이론은 인구이동에 의해 일자리 수의 변화가 초래된다는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이론이 더 설득력을 가질 것인가. 최근 발표된 산업연구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89~2006년 기간 중 주요 대도시에서는 일자리가 인구유입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에서는 일자리가 인구유입을 초래하고 유입된 인구에 의해 다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는 순환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비해 지방에서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주로 인구유출이 일자리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이동과 일자리 수 변화의 상관관계는 도시와 지역마다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을 제외한 주요 대도시 중에서는 부산ㆍ인천ㆍ광주 순으로 일자리 창출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인구유입이 많다. 반면 지방에서는 경상북도ㆍ충청남도ㆍ전라북도ㆍ전라남도 순으로 인구유출에 따라 일자리 수가 많이 감소하고 있다. 지방경제가 발전하려면 대도시와는 달리 인구유출을 막고 정주인구를 증가시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의 교육ㆍ의료ㆍ문화ㆍ환경ㆍ주거 등 제반 생활여건의 개선이 이뤄지고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경제의 혁신역량이 제고돼야 한다.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과 혁신도시 건설은 이러한 취지에 부합하며, 앞으로 지방의 인구증가와 고용증대는 물론 지방경제의 활력과 발전잠재력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