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북한 비핵화 강도 높은 메시지… 한·중 FTA 협상 진전 기대

박근혜 대통령 방중 어떤 성과낼까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27일부터 3박 4일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하는 가운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어떤 성과를 이끌어낼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방중을 나흘 앞둔 23일 공식 일정 없이 정상회담 막바지 준비에 나섰다.

박 대통령의 방중의 최대 관심사는 북한 비핵화에 대해 중국과 어느 정도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여부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언론사 정치부장단과의 만찬에서 "(북한 비핵화에) 중국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가능한 이 부분에 대해서도 시 주석 등과 적극적으로 얘기해보려고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역시 북핵으로 인한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 영향력 확대를 차단하기 위해 비핵화에 공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중 정상회담 합의문에서 지금까지 '한반도의 비핵화 지위확보(노무현 정부)' '9.19 공동성명 이행(이명박 정부)' 등 보다 강도가 높은 비핵화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박 대통령은 또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대한 중국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도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분야에서는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합의가 더욱 진전될 수 있을지 기대된다.


현재 양국은 1단계에서 5차 협상까지 진행시킨 상태에서 2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논의 중이다. 이와 관련,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은 지난달 28일 기자들과 만나 "한중 FTA의 방향이나 범위나 깊이 등에 대해 양측이 컨센서스를 완전히 이루지는 못해 의견 차이가 많이 있고 그 부분을 조금 좁히는 계기가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며 한중 정상회담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관련기사



한중 FTA와 더불어 중국과의 전반적인 경제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역대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베이징 이외의 지방도시로 상하이(上海)가 아닌 시안(西安)을 선택한 것도 중국 정부가 추진 중인 서부 대개발 정책의 거점을 방문함으로써 경제 협력 강화를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을 수행하는 경제사절단 규모도 역대 최대급인 70여명 내외로 꾸려질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첫 방중 당시 36명의 경제사절단을 구성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21일부터 사흘 연속 공식 일정 없이 방중 준비에만 몰두했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 의제를 가다듬는 한편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어 연설 준비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