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통업체 “한미 FTA발효 후 먹거리 많이 수입”

대한상의 조사…10곳 중 6곳 식품 수입 계획

국내 유통업체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후 ‘먹거리’를 가장 많이 수입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유통기업 250곳을 대상으로 한ㆍ미 FTA 활용계획을 설문 조사한 결과 수입 계획이 있는 품목을 묻는 질문에 '가공식품'이라는 대답이 29.1%로 가장 많았고 '신선식품'(27.9%)이 그 뒤를 따랐다고 5일 밝혔다.

유통업체 10곳 중 6곳이 '먹거리'를 수입할 계획을 갖고 있는 셈이다.


잡화(18.6%), 화장품(12.8%), 의약·건강보조식품(11.6%), 주류(9.3%), 의류(7.0%) 등의 답변도 있었다.

관련기사



대한상의의 한 관계자는 "국내산 가격보다 저렴한 삼겹살, 치즈, 오렌지 등 식료품 수입이 증가하면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줄어들고 선택권도 넓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FTA 발효 후 미국산 수입상품 판매가격을 내릴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54.0%의 기업이 '그렇다'라고 답했으며, '변화 없다'는 의견도 31.2%에 달했다.

가격 인하방안에 대해서는 75.6%가 판촉비 증가, 복잡한 유통구조 등으로 '관세 인하분 중 일부만 반영하겠다'고 응답했고 24.4%는 '관세 인하분 만큼 내리겠다'고 대답했다.

유통기업 42.0%는 '한·미 FTA가 유통산업 선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 이유로 '상품가격 하락'(47.7%), '신규 사업기회 확대'(27.7%),'상품품질 개선'(21.5%) 등을 차례로 꼽았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미 FTA가 발효되면 미국산 상품이나 브랜드와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며 "국내 유통업체들은 효율화와 선진화에 더욱 노력해 경쟁력을 높이는데 힘써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태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