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이젠 북한이 남북화해 진정성 행동으로 보여줘야

내년 1월 중 남북 간 상호 관심사를 논의하기 위한 당국 간 회담을 하자는 제안이 담긴 통일준비위원회 명의의 전통문이 29일 북측에 보내졌다. 통준위 정부 측 부위원장인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이 사실을 전하면서 "이 만남으로 설 전에 이산가족들의 한을 풀어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제안은 올해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도 그렇지만 북한의 대남 기조를 확인할 수 있는 신년사가 내년 1월1일에 나올 것이라는 점에 비춰볼 때 발표시점이 다소 이례적이다. 그만큼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강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관련기사



제시된 회담 안건도 하나같이 긴요한 것들이다. 무엇보다 이산가족의 생사 확인과 정례적 상봉, 서신·영상편지 교환 등의 실행이 다급하다. 광복 70주년 기념사업으로 제안한 남북축구대회와 평화문화예술제·세계평화회의 개최, 남북문화협정 체결은 물론 나진·하산 사업과 생활 인프라 개선 등 경제협력 과제도 논의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작업을 구체화하고 국제기구와 남북이 DMZ 생태계 공동조사도 추진함으로써 한반도의 평화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통준위의 이번 제안은 시기적절하며 정당하다. 광복 70주년과 분단 70년을 맞는 새해는 분단을 해소하고 통일의 길을 열어나가는 한편 남북이 힘을 합치는 데 더없이 좋은 기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남북관계의 획기적인 발전은 북한 지도부의 태도변화가 선결돼야 가능하다. 북한은 최근 남북고위급 접촉에 합의해놓고도 우리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트집 잡아 무산시켰다. 지난해 6월 남북당국회담 추진 때도 수석대표의 격을 둘러싼 다툼으로 회담 자체가 열리지 못했다. 이래서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개선이 어렵다. 5·24조치 해제와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북측의 책임 있는 조치도 필수적이다. 공은 북으로 넘어갔다. 북이 남북화해에 대한 진정성을 행동으로 보여줄 차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