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무상보육예산, 정부 지원 없으면 7~8월 고갈

국고보조율 20%→50% 늘려달라

서울시 무상보육 예산이 오는 7~8월께 바닥날 것으로 예상됐다. 시는 무상보육 중단 위기를 막기 위해 국고보조율을 현행 20%에서 50%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9일 서울 중구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0~5세 무상보육 정책에 따라 서울시와 자치구가 추가로 부담할 예산이 4,668억원에 달한다”며 “정부가 더 지원해주지 않으면 7~8월께 예산이 바닥나 지난해처럼 카드로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시에 따르면 여야가 올해부터 만 0~5세 영ㆍ유아를 둔 가정에 소득계층과 상관없이 보육료나 양육수당을 지급하기로 지난 해 말 합의함에 따라 서울시는 3,263억원, 자치구들은 1,405억원이 더 필요하다.

특히 소득 상위 30% 가구의 영유아까지 무상보육 대상에 포함되면서 소득 상위 30% 비중이 42%에 달하는 서울시는 다른 지자체(평균 23.4%)보다 부담이 더 크다는 주장이다.

조 실장은 “무상보육을 위한 시 재정부담은 매년 늘고 있지만 정부 분담률은 8년째 20%에 머무르고 있고 다른 지자체들(50%)보다도 훨씬 낮다”며 “국고보조율을 50%까지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