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위당국자 "북핵, 본격협상 국면 돌입"

"북 핵포기, 미 관계정상화 의사 밝힌 것은 성과"<br>中 '9, 10월중 5차회담 개최'안 내기도

제4차 북핵 6자회담의 3주간 휴회 결정에 따라정부가 후속대책 마련에 착수한 가운데 한 고위 당국자는 "4차회담은 북미간 각각핵포기와 관계정상화 의사를 밝힘에 따라 본격적인 협상국면에 돌입했다"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이날 세종로 정부청사 휴게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비핵화라는 대전제에 6자 모두 공통인식을 확인했고, 공통의 합의로 봐도 된다"면서 이렇게밝히고 "이것만으로도 2.10 성명 후 5개월간 북핵문제와 관련한 내외 정세와 비교해보면 국면 전환으로 볼 수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북측이 비핵화를 지탱하는 축으로서 핵포기 의사를 명확히 했고미국도 관계정상화를 포함한 상응조치에 적극, 전향적인 자세와 태도를 취한 것을알맹이로 볼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북.미간 '평화적인 핵이용권' 및 '불가' 입장이 팽팽히 맞선 것에 대해 그는 "이 문제로 고민하는 것만도 얼마나 진전된 것이냐"고 반문한 뒤 "이제 핵문제가 관리 가능한 국면으로 진입한 것이며 특히 우리 대표단의 필사적인 노력 끝에 회담이종결되지 않고 '3주간 휴회' 결정이 된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4차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핵포기에 대한 목표 합의 직전까지갔던 점을 상기시킨 뒤 "휴회 시점에서 최대 걸림돌인 핵의 평화적 이용권이었으며이에 대한 접점을 마련했다면 타결됐을 것"이라고 아시움을 표한 뒤 "8월말 열리는2단계 4차회담에서는 결과물을 꼭 내놓을 수 있도록 총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당국자는 '8월 29일이 시작되는 주에 회담을 재개하기로 한 것에 대해"중국이 회담 중반부터 9월에 외교일정이 있는 만큼 10월에 5차회담을 다시 하자는식의 얘기를 했는데 '4차 종결이 아닌 휴회 개념으로 가야한다'며 우리 정부가 '8월말'로 시기를 못박아 동력을 잃지 않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홍덕화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