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장비 운송' 중단 전국 확산 조짐

로베드트레일러업자 올스톱…생산업계 수출·생산차질 우려

서울ㆍ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굴삭기 등 중장비를 운송하는 로베드트레일러업자들이 운행을 중단해 중장비 생산업체의 수출은 물론 건설현장 공사에 차질이 우려된다. 더구나 이 같은 운행 거부 사태가 전국으로 확산될 조짐이어서 관련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8일 서울로베드트레일러협의회와 화물연대, 중장비 생산업체 등에 따르면 서울ㆍ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 중장비 운송업자들이 지난 1일부터 일제히 운송을 거부하고 운행을 중단했다. 김용원 서울로베드트레일러협의회장은 “협의회에 등록된 250여대가 모두 운행 거부에 나섰으며 인천ㆍ수원 등 경기 지역에서 운행하고 있는 250여대 가운데 200대 가량도 운행 거부에 동참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9일 전국 각지의 중장비 운송업자들이 한데 모여 운송 거부에 동참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혀 이번 운송 거부 사태가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운행 거부 사태의 주된 이유는 건설교통부가 지난달부터 200만원의 포상금을 내걸고 중장비 운송차량의 폭과 무게를 엄격하게 단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그동안 관행으로 여겨졌던 화주들의 무리한 과적요구도 운행 중단을 초래했다. 현행 도로법에 따르면 중장비를 운송하는 차량은 폭 2.5m, 높이 3.5m, 무게 40톤으로 각각 제한돼 있다. 무게가 40톤을 웃도는 중장비의 경우 분해해 운송하거나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이를 따르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운행 거부 사태가 빚어지자 대우종기 등 중장비 생산업체는 제품 출하에 차질을 빚고 있다. 수출물량을 제때 선적할 수 없는데다 적재장소가 비좁아 생산차질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다. 최정일 대우종기 이사는 “다음주 부산항에서 선적해야 하는 수출물량을 제때 보낼 수 있을지 걱정인데다 제작한 중장비를 쌓아둘 장소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생산일정의 차질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관련업계에서는 이번 운송 거부 사태가 이어질 경우 건설현장의 공사 중단도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건교부는 이와 관련, 과적 운송을 막기 위한 단속은 차량 화주들의 과적 강요를 막기 위한 조치라며 규정완화나 단속 중단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