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계열 리스·렌털·카드사 등도 「그룹별 여신한도」 시행

◎자산·신용도따라 5등급 나눠/기업 자금난 가중 우려은행들이 자회사의 부실여신을 줄이기 위해 계열기업군별 여신등급 및 한도지침을 마련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은행들에 대한 계열기업군별 여신관리제도가 7월중 시행되는데 이어 은행자회사를 중심으로 한 제2금융권도 이처럼 여신관리를 강화함에 따라 기업들의 자금구하기가 한층 어려워질 전망이다. 26일 금융계에 따르면 K은행은 최근 카드와 리스, 할부금융, 렌털, 상호신용금고 등 자회사에 계열기업군별 여신지침을 내려보내 한도 이상의 대출을 금지토록 지시했다. 이 은행 일부 계열사의 경우 내부결재를 마치고 지난 23일부터 이미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은행들도 이 제도를 시행키로 하고 내부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은행의 여신한도 리스트는 개별기업군의 총자산과 부채비율, 신용평가회사의 신용평가등급 등에 따라 A에서 E군까지 총 5단계로 돼 있는데 A군의 경우 계열금융기관 자기자본의 1백20% 이내에서 대출을 한정토록 했다. 또 B군은 계열금융기관 자기자본의 1백% 이내, C군은 80%, D군은 60%, E군은 30% 이내에서만 대출을 허용토록 명시했다. 이번 리스트의 A군에는 삼성·현대·대우·LG 등 4개 기업이, B군에는 한진·기아·선경·쌍용 등 4개 기업이 각각 포함돼 있다. 기아와 쌍용의 경우 최근 재무상태가 악화됐음에도 불구 자산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한화와 대림·금호·두산 등 18개 기업은 C군에, 한라와 한일·고합·해태 등은 D군에 각각 속해 있다. 조양과 우방 등 기타 거대기업은 E군에 포함돼 앞으로 이 은행 계열금융기관으로부터는 자기자본의 30% 이상을 대출받지 못하게 된다. 이번 지침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이는 이른 시일 안에 전금융기관으로 파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따라 기업들의 자금사정은 더욱 빠듯해질 것으로 보인다.<김영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