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10대그룹, 올 소외계층등 지원에 8,212억 투입

재계 '실질적 공헌' 구체화…윤리·투명경영 조직확대<br>실천로드맵 자율적 활용 이행상황 주기적 점검도

‘기업시민으로서의 책임의식을 무겁게 느낍니다.’ 경제5단체가 2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투명사회를 만들기 위한 경제 부문 실천협의회를 출범시켰다. 김재철(왼쪽부터) 한국무역협회 회장, 강신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김용구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 박용성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이수영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동호기자

국가 예산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과 재해복구ㆍ환경보전 등에 재계가 드디어 실질적인 공헌을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26일 경제5단체가 밝힌 ‘투명사회협약 경제 부문 실천계획’은 기업들의 사고방식에 투명경영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차원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회가 기업시민에게 요구하고 있는 구체적인 지원액수가 담겨 있다. ◇올 한해 8,212억원 지원=이번 실천계획을 통해 삼성과 현대자동차ㆍLGㆍSKㆍKTㆍ포스코ㆍ한화ㆍ코오롱ㆍCJ 등 10개 주요 그룹들은 소외계층 지원과 지역사회 발전, 재해복구, 환경보전 등의 사업에 올해에만 8,212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부문별로는 소외계층 지원이 3,528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장학ㆍ학술 지원 2,463억원 ▦재해복구 779억원 ▦문화예술진흥 621억원 ▦지역사회발전 466억원 ▦환경보전 270억원 등이다. 적을 수도 많을 수도 있는 금액이지만 사실상 정부만으로 진행돼온 소외계층 및 사회발전에 재계가 상당한 책임감을 갖고 동참한다는 의미가 더 눈에 띈다. 특히 올해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매년 올해 정도 이상의 ‘사회공헌기금’을 갹출할 것임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기업 또는 재계의 역할이 주목된다. 재계는 아울러 경제5단체 공동으로 ‘사회공헌대상’ 제정을 추진해 모범적인 기업 사회공헌 사례를 발굴, 시상할 계획이다. 보다 많은 기업들이 기업시민으로서의 책임감을 받아들이고 실천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해가겠다는 의미다. 경제5단체는 이밖에 사회공헌을 확산시키기 위해 필요할 경우 범경제계 차원의 공동 브랜드사업을 발굴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윤리ㆍ투명 경영 정착시켜 ‘부패’ 차단해라=이번 실천계획에는 또 윤리경영의 확산을 위해 이해 관계자별 윤리경영지도를 작성, 기업 내에서 발생하는 부패발생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 상반기 중 범경제계 차원의 윤리경영 확산대회를 갖는 데 이어 하반기에는 윤리강령 실천 모범업체 및 하도급거래 공정화 모범업체 사례 발표회 등을 갖기로 했다. 아울러 ‘최고경영자(CEO) 기업윤리 포럼’을 분기별로 개최하는 한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연구회’를 만들어 기업 CEO 및 임직원들에게 윤리경영 도입방안을 집중 교육하기로 했다. 또 다른 한 축인 기업의 투명경영 실천을 위해 재계는 개별기업의 다양성을 기초로 선진 지배구조 정보 제공 등을 통해 관련 법규를 지킬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기업이 투명경영에 관한 실천로드맵을 자율적으로 만들어 활용하도록 권고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이사회 운영, 사외이사 활용, 회계투명성 등 부문별 우수기업 사례를 전파하는 한편 선진국의 지배구조와 내부통제 시스템 현황 등을 조사해 이를 ‘글로벌 표준규범’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이행상황 주기적으로 점검ㆍ평가한다=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이번 실천계획은 지난 3월 마련한 초안을 바탕으로 경제5단체와 20대 주요 기업 등 범경제계 차원의 의견을 종합, 확정한 것”이라며 “공공과 정치ㆍ경제ㆍ시민사회 등 4대 실천주체 중 경제계가 가장 먼저 공식 출범함으로써 모범을 보이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재계는 이와 관련, 3대 실천계획이 기업들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이행상황을 점검해나갈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