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통3사 '클린마케팅' 신사협정

陳정통 중재, 비용축소·투자활성화등 담을듯

이동통신 3사 대표가 극심한 혼탁 양상을 빚고 있는 시장 정화를 위해 ‘클린 마케팅 신사협정’을 맺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KTF의 번호이동을 앞둔 상황에서 이번 신사협정을 계기로 이통시장에 공정경쟁 분위기가 정착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김신배 SK텔레콤 사장, 남중수 KTF 사장, 남용 LG텔레콤 사장은 오는 3일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 중재로 모임을 갖고 ‘클린 마케팅’ 신사협정을 맺을 계획이다. 신사협정에는 “과도한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투자 활성화에 노력하겠다”는 수준의 선언적 내용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정은 진 장관이 최근 사석에서 3사 대표에게 번호이동성제 등에 따른 과열ㆍ혼탁 양상을 해소하기 위해 공동노력에 나서줄 것을 제의한 데 따른 후속조치로 마련됐다. SK텔레콤의 관계자는 이와 관련 “합병인가조건 이행여부를 심의한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 회의가 열리기 전에 일정이 잡힌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심의위 결과에 상관없이 혼탁한 시장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는 진 장관의 제안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정통부 장관 자문기구인 심의위는 지난 25일 “향후 심각한 경쟁제한적 상황이 초래될 가능성이 크다”며 SK텔레콤의 합병인가조건 이행여부 보고기간을 2년 연장하는 한편 불공정행위에 대한 가중처벌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오는 7일 열리는 통신위원회에서도 심의위 결정을 참고해 SK텔레콤에 대한 영업정지 조치가 내려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어 이번 신사협정이 통신위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도 관심거리다. 한편 이통 3사는 신사협정을 계기로 과도한 마케팅 비용이 줄고 공정경쟁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하면서도 각사의 이해관계에 따라 다소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SK텔레콤은 25일 심의위 결정에 앞서 무리한 마케팅을 자제해 2005년까지 시장점유율을 52.3%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한 만큼 향후 소모적 논쟁을 지양하고 발전적 관계를 모색하자는 입장이다. 그러나 KTF, LG텔레콤 등 후발사업자들은 정통부 주도의 신사협정이 자칫 SK텔레콤에 ‘면죄부’를 주는 것 아니냐는 경계의 시선도 보내고 있다. 후발업체의 한 관계자는 “심의위에 이어 통신위 심결을 무마하기 위한 일종의 제스처일 수 있다”며 “클린 마케팅만 하면 전부가 아니라 공정경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절실하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문섭기자 clooney@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