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안갯속 경제'… 성장률 전망도 제각각

LG硏·ADB는 올리고 삼성·현대硏은 "신중"

국내 경제가 여전히 안갯속인 가운데 국내외 경기예측 기관들의 올 성장률 전망치도 ‘십인십색(十人十色)’을 띠고 있다. 국내 경제는 올들어 2년간 부진을 면하지 못했던 민간소비가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설비투자와 산업생산이 감소하는 등 긍정지표와 부정지표가 혼재,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다. LG경제연구원은 12일 올해 2ㆍ4분기가 경기 저점이 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올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8%에서 4.3%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내세운 수치(4.0%)를 웃도는 것으로 LG경제연구원은 고유가, 원화가치 절상 등 대외 불안요인이 크게 악화되지 않으면 5%대의 경제성장률 회복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앞서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지난 6일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3.9%에서 4.1%로 수정,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도 8일 “거시경제정책이 내수부양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성장률 전망치를 3.7%에서 4.5%로 올렸다. 반면 삼성경제연구소ㆍ현대경제연구원 등은 한두달 동안 발표되는 경기지표를 면밀히 검토, 수정 전망치를 내놓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경제연구원은 12일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올해 성장률로 당초 전망치와 동일한 4.1%를 고수했다. 이밖에 워싱턴 소재 경제연구소인 국제경제연구원은 최근 한국의 성장률이 4%를 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모건스탠리 역시 고유가로 인한 내수회복이 수출 증가세 둔화를 상쇄하지 못해 올해 성장률이 3.8%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올 2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성장률을 종전 수준인 4.0%로 유지하는 등 혼돈스러운 경제지표만큼이나 국내외 경기예측 기관들의 전망도 엇갈리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