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무협, 지속적인 국가 이미지 대응전략 필요

월드컵 이후 높아진 국가 이미지를 유지ㆍ발전시킬 전략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16일 한국무역협회는 '주요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전략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현재 정부가 국가 이미지 제고활동에 나서고는 있지만, 단기적이고 단편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어 민간을 포괄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협회는 '캐나다=단풍잎', '프랑스=삼색국기', '일본=후지산' 등 선진국들과 같이 우리나라의 대표 상징물을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또 장기적이고 일관된 국가이미지 제고활동을 위해서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고 해외언론을 적극 이용할 것을 제안했다. 김성택 실장은 "정부기관과 기업차원의 해외 홍보가 실질적 협력이 이뤄지지 않아 구심점 없는 홍보가 되고 있다"며 "특히 교통혼잡, 영어소통 불편, 불친절,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 태도, 빈번한 대형사고 등의 부정적 국가이미지를 불식시킬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협회는 2002년 스위스 국제경영연구원(IMD)의 보고서에서 한국의 해외이미지 순위가 29위로 중국(9위), 타이완(22위)보다 낮고 태국, 멕시코, 슬로베니아와 비슷한 수준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강동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