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환보유액 GDP대비 30% 돌파

7월말 현재 2,057억弗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3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보다 GDP 규모가 큰 국가 중 GDP 대비 외환보유액 비중이 30%를 넘는 국가는 중국이 유일하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2,057억달러로 2004년 GDP(6,801억달러)의 30.2%에 달했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비중이 GDP의 30%에 이른 것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환율급락을 막기 위해 외환당국이 적극 개입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3월(30.2%)부터 7월까지 5개월 연속 30%대가 유지돼왔으며 15일 기준으로는 30.6%로 올라갔다. GDP 규모가 우리나라보다 큰 국가 중 외환보유액이 GDP의 30%를 넘는 나라는 중국(48.4%)밖에 없으며 인도(20.2%)와 일본(18.0%)도 우리나라보다는 비중이 작았다. 이밖에 영국ㆍ프랑스ㆍ이탈리아가 각각 3.6%이며 독일 3.5%, 캐나다 3.3%, 스페인 1.7%, 미국 0.7% 등이다. 외환보유액이 지나치다는 지적에 대해 한은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북한이라는 특수한 경제상황을 안고 있어 다른 나라에 비해 GDP 대비 비중이 높다고 해서 외환보유액을 과다하게 보유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을 금융 시스템이 안정된 다른 선진국과 같다고 보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