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공기업 신규 채용 올스톱 위기

구조조정 여파…가스·주택公등 올해 채용계획 확정 못해<br>통폐합·민영화 앞두고 기존 인력들도 '덜덜'


공기업에 구조조정의 칼바람이 몰아칠 기세다. MB정부의 공공기관 민영화 작업과 맞물려 통폐합, 인력 감축, 일부 사업 부문 매각 등이 동시에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공공기관 305곳 가운데 완전 민영화 대상은 20~30개 정도. 하지만 나머지 공공기관도 경영권 민영화, 민간과의 경쟁 시스템 도입, 기관 폐지 등 다양한 구조조정 압력을 받고 있다. 구조개편이 눈앞에 닥치면서 공기업들은 신규 채용 계획을 미루고 있다. 올해 공기업 신규 채용이 전면중단 사태로까지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완전 민영화 대상으로 거론되는 한국가스공사는 지난해 상ㆍ하반기로 나눠 70명 안팎을 뽑았지만 당분간은 인력 충원 계획이 없다. 또 한전KPSㆍ대한주택공사ㆍ토지공사ㆍ대한주택보증ㆍ인천국제공사ㆍ석유공사ㆍ한국전력기술ㆍ기술신용보증기금ㆍ철도공사ㆍ지역난방공사 등도 올해 채용 계획을 확정하지 못했거나 아예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자원공사ㆍ방송광고공사 등도 신규 채용을 자신하지 못하고 있다. 신용 채용이 지연되거나 취소되는 것과 별도로 기존 인력들도 구조조정의 불안감에 떨고 있다. 공기업 민영화 계획이 발표되면 조직 축소 및 구조조정 과정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이번 민영화 계획에 구체적인 구조조정 지침을 함께 담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기업 직원들의 고용 안정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 공사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 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일단 지켜보고 있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인력 감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보-기보, 주공-토공 등 통폐합 대상으로 거론되는 공기업들의 불안감은 더 크다. 두 기관이 합쳐지는 과정에서 중복 부서 및 인력 문제를 해결해야 할 실정이기 때문이다. 기보의 한 관계자는 “지난 2005년 유동성 위기로 이미 20%의 인력을 구조조정했는데 또다시 통폐합 얘기가 나오면서 직원들이 패닉 상태에 빠졌다”며 “특히 조직 자체가 신보에 비해 절반 이하여서 통폐합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민영화로 인해 시장에 인수합병(M&A)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있는 공기업도 구조조정 불안감이 크다. 기업은행의 경우 국민ㆍ우리ㆍ하나 등 시중은행에 흡수되면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기존의 정책금융 역할을 수행할 수 없고 조직원들의 감원을 수반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공공기관의 민영화ㆍ통폐합에 대해 노조 측은 강경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은 올 3월 ‘공공 부문 시장화ㆍ사유화 저지 및 공공 부문 사회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투쟁본부’를 발족하고 총파업을 비롯한 강도 높은 투쟁으로 맞설 계획이다. 한국노총도 ‘사회 공공성 강화와 공공 부문 구조개악 저지 대책위원회’를 발족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