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둘쭉날쭉' 시세 하나로 통일

[부동산 전자상거래 시대]④부동산 인덱스<br>지역특성·주택의 질 고려 등급 분류<br>'주택가격지수' 만들어 신뢰도 높여

최근 한 부동산 정보제공업체가 발표한 시세에 대해 다른 업체가 반박 자료를 내면서 소비자들을 혼란스럽게 한 일이 벌어졌다. 발표 업체는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는 가운데 일부 고가 주상복합아파트는 한달새 수천만~수억원씩 올랐다고 했고 다른 부동산 정보업체는 일반 아파트와 마찬가지로 주상복합도 매매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잘못된 통계발표로 인해 시장이 왜곡될 수 있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혼란이 언제든 다시 반복될 수 있다는 것. ◇중개업소 통한 집계의 한계=부동산 정보업체들이 제공하는 시세는 같은 아파트 가격이 많게는 수억원씩 차이가 날 정도로 편차가 크다. 업체마다 다른 조사대상 표본을 가지고 제각기 다른 방법으로 조사하기 때문이다. ‘부동산 통계는 50%만 믿으라’는 말이 공공연히 도는 것은 이 때문이다. 현재 주택시황 통계 가운데서는 지난 86년부터 발표된 국민은행의 것이 그나마 공신력을 얻고 있다. 하지만 국민은행의 통계 역시 거래가 활발하지 않은 불황기가 되면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호황기의 경우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격이 형성되지만 거래가 없는 불황기는 중개업소의 체감(?) 시세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현재 발표되는 시세는 중개업소를 통하기 때문에 실거래가와 호가가 혼재하는 상태”라며 “정부 역시 부동산 가격 폭등 시기마다 정확한 지표를 만들려고 노력하지만 쉽게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객관적인 실거래가 지표 있어야=현재 부동산 거래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다른 물건과 달리 적정가격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왜곡된 정보가 많고 거래도 불투명해서 거래비용이 많이 든다. 하지만 부동산 인덱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난해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는 부동산 인덱스팀을 설치해 부동산 인덱스 개발 1차 연구용역 보고서를 산업자원부에 제출했다. 부동산 인텍스팀이 내린 결론은 두 가지. 지역특성(학군ㆍ주변환경), 주택의 질(전망ㆍ내부시설) 등 특성별로 등급을 매긴 ‘주택 특성가격 기준표’를 구성한 뒤 여기에 실제 거래가격 정보를 조합해 시세흐름을 읽을 수 있는 ‘주택가격지수’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김정렬 KAMCO 부동산사업본부장은 “주택의 특성을 등급으로 나누는 작업은 만만치 않겠지만 주택가격지수의 경우 정부의 계획대로 실거래가 자료가 축적된다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