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불붙은 자원전쟁] <2부-2> 호주 최대 석탄수출항 뉴캐슬

제2부: 프런티어를 가다<br>"항구도 만원" SOC 투자로 틈새 뚫어라<br>세계최대 항만시설마저 포화 수십척 광탄선 인근 해상 대기<br>자원개발 국부펀드 설립통해 인프라 건설 지원 적극 나서야

뉴캐슬 항구에 컨베이어벨트로 옮겨진 석탄이 십로더를 통해 대형 벌크선에 선적되고 있다.


호주 최대의 석탄 수출항구인 뉴캐슬항은 세계 최대규모의 항만시설과 수송처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자랑한다. 하지만 이곳은 요즘 석탄을 싣기 위해 밀려드는 대형 선박들로 항상 초만원을 이룬다. 호주의 주요 석탄산지인 뉴사우스웨일스ㆍ퀸즐랜드에서 철도 및 도로를 통해 운송된 시커먼 석탄이 이 항구에 집결해 전세계로 수출된다. 기자는 뉴캐슬항에서 캐링턴ㆍ쿠라강 등 2개의 터미널을 운영하는 항만시설업체 포트 와라타 코울 서비스(PWCS)를 방문했다. 터미널에는 대형 선박들이 정박한 채 석탄을 한창 실어내고 있었다. 터미널 곳곳에 산처럼 쌓여 있는 석탄과 꼬리에 꼬리를 문 컨베이어 벨트, 그리고 석탄을 배로 실어 올리는 골리앗 크레인 같은 십로더의 크기가 기자를 압도하기에 충분했다. PWCS는 하루 24시간 풀가동하며 연간 8,480만톤의 석탄을 지구촌 곳곳으로 보내고 있다. 지난해에만도 973척의 배가 항구를 들고 났다. 항구가 초만원을 이루자 터미널에 들어오지 못한 수십척의 광탄선이 인근 바다에 줄지어 기다리고 있었다. 먼저 부두에 자리잡은 배가 석탄을 다 싣고 빠져 나와야 항구 밖에서 순서를 기다리던 선박이 겨우 항구에 들어와 석탄을 실어내는 것이다. PWCS의 한 관계자는 “지난 1994년 이후 수용능력을 늘리기 위해 8억6,000만달러 이상의 자금을 투자해왔지만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금 이 순간 39척의 배가 차례를 기다리며 인근 해상에 대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상에서 대기하는 선박 수는 2005년 15척(하루 평균)에서 지난해 55척, 올해는 30척을 웃돌고 있다. 석탄을 쌓아놓는 저탄시설이 어마어마한 것도 선착장에서 실어낼 수 있는 용량이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은 서호주 철광석 수출항구인 포트헤들랜드도 마찬가지다. 최근 1~2년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것은 수급불안 탓도 있지만 이처럼 운송시설이 부족해 제때 수출이 되지 못하는 이유가 크다. PWCS에서 실어내는 석탄의 65%는 일본으로 수출된다. 그 이유는 이 회사의 지분 분포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PWCS의 지분은 2007년 말 현재 뉴캐슬 콜 시퍼스 등 호주업체가 70%, 신일본제철 등 일본회사 3곳이 나머지 30%를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1976년 PWCS가 설립될 당시부터 지분투자를 통해 회사 경영에 참여해왔다. 이 회사 이사회 멤버 10명 중 3명이 일본의 몫이다. 석탄 수입의 안정적인 활로를 확보하기 위해 일찌감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에 나선 것이다. 일본이 일찍이 항만에 투자하며 간접적으로 자원개발에 나선 사실은 뒤늦게 해외자원개발에 뛰어든 한국이 배워야 할 점이다. 전문가들은 해외자원개발의 새로운 포인트는 SOC 투자에 눈을 돌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원업계에서는 자원개발과 SOC 투자를 겸한 패키지 딜이 아닌 보다 적극적인 형태의 SOC 투자를 주문하고 있다. 박중석 포스코 호주법인 부장은 “BHP빌리턴이나 리오틴토 같은 메이저 광산회사를 제외한 중소 광산업체의 경우 철도ㆍ항만 시설을 갖추지 않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며 “한국 기업들은 SOC 투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건은 자금의 규모와 사업을 성사시킬 광범위한 인적 네트워크다. 중국의 자원기업 인수합병(M&A) 사례에서 보듯 최소 10억달러 이상의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다. 철도ㆍ항만 등 기반시설을 건설하는 SOC 투자는 더 많은 자금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중국처럼 자원개발 국부펀드를 설립하는 것도 난제를 푸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중국은 지난해 9월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국부펀드인 중국투자공사를 설립해 아프리카ㆍ남미 등에 자원외교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학희 SK에너지 호주지사장은 “(1~2개 기업 수준의) 적은 지분투자로는 자원기업 및 인프라 투자가 어렵다”며 “정부 차원에서 정책적 대안으로 국부펀드를 운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