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듀얼 DMB폰 '태풍의 눈'

지상파 DMB 활성화 기대속 이통시장 구도변화 촉각<BR>SKT·LGT선 “유통불가” 고수… 대책 마련 부심


듀얼 DMB폰 '태풍의 눈' 지상파 DMB 활성화 기대속 이통시장 구도변화 촉각SKT 등은 "수익성 없다"… 보급엔 아직 미온적 한영일 기자 hanul@sed.co.kr 위성 및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휴대폰이 12월부터 판매됨에 따라 이동통신업계, 나아가 방송업계가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TF가 삼성전자로부터 위성 및 지상파 DMB 겸용 휴대폰을 공급받아 공격적인 마케팅에 들어가면 이통업계의 시장 구도에 큰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지상파 DMB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3일 '삼성 애널리스트데이 2005'에서 12월중 KTF를 통해 위성 및 지상파 DMB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DMB폰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KTF는 이통업계에서는 가장 먼저 위성DMB뿐 아니라 지상파 DMB 시청도 가능한 핸드폰을 출시할 수 있게 된다. 지상파DMB 서비스 개시를 한 달 앞둔 시점에서 SK텔레콤, KTF, LG텔레콤 등 모든 이통업체들이 '수익모델이 없다'는 이유로 지상파 DMB폰 유통을 공식적으로 천명하지 않고 있다. 이통업계는 지상파DMB 서비스가 무료로 이뤄지기 때문에 대리점 유통비용 조차 보전할 수 없다는 이유로 아직까지는 묵시적인 합의를 통해 유통불가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KTF가 듀얼DMB폰을 공급하면 이동통신시장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에서는 KTF가 무료라는 점을 내세워 지상파 DMB폰을 적극적으로 공급할 경우 가입자 기반을 크게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위성DMB사업자 TU미디어의 최대 주주사인 SK텔레콤 입장에서는 아직 위성DMB서비스가 자리를 잡기도 전에 듀얼DMB폰이 공급되면 위성DMB 시장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하고있다. LG텔레콤도 지상파 DMB폰을 공급하지 않을 경우 이통시장에서의 입지가 위축될 수 있기 때문에 지상파 폰 출시 여부를 하루 속히 결정해야 할 입장이다. KTF의 한 관계자는 "특정 휴대폰을 언제 출시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결국 이통사의 몫"이라며 "듀얼DMB폰의 경우도 단순히 지상파DMB에 대한 준비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입력시간 : 2005/11/06 16:3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