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촛불 종교인' 사법처리 시사 논란

경찰 "종교행사 명목 집회도 위법 여부 가릴 것"<br>종교계선 "사목현장 돌아가겠다" 잇따라 철수

'촛불 종교인' 사법처리 시사 논란 경찰 "종교행사 명목 집회도 위법 여부 가릴 것"종교계선 "사목현장 돌아가겠다" 잇따라 철수 노희영 기자 nevermind@sed.co.kr 최근 비폭력 촛불집회를 주도한 종교계에 대해 경찰이 사법처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이와 무관하게 앞서 촛불집회의 구심점이 됐던 종교계가 사목현장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하고 경찰이 불법 집회에 대해 원천봉쇄 방침을 밝히면서 촛불집회의 동력이 약화될 것이란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경찰의 종교인 사법처리 가능성이 구체화될 경우 촛불집회는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7일 한진희 서울지방경찰청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종교행사 명목으로 열린 촛불집회 역시 위법을 가리고 사법처리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주 서울광장에서 열린 시국미사 및 기도회, 법회에 참여한 종교인들에 대해서도 형사처벌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어서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전망된다. 한 청장은 또 서울광장은 잔디심기 작업 때문에 시민들의 광장 출입을 허용할 수 없다면서 전경버스로 시청광장 주변에 차벽을 만들어 출입자체를 막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서울광장이 원천 봉쇄된 후 마땅한 집결 장소를 찾지 못하면 자연스럽게 촛불집회 동력도 약해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 6일 촛불집회에서 서울광장이 경찰에 의해 원천 봉쇄됨에 따라 참가자 수가 500여명에 불과해 전날 경찰추산 5만명(주최 측 추산 50만명)이 운집한 것과 큰 대조를 보였다. 종교계도 잇달아 촛불집회에서 철수할 방침을 밝혔다. 원불교 사회개벽교무단과 전국목회자정의평화실천협의회는 각각 8일과 오는 13일 예정됐던 시국법회와 시국기도회를 연기하기로 했으며 앞서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도 6일 사목현장으로 돌아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이날 운영위원회를 열고 "향후 12, 17일 집회에만 집중하고 평일 집회는 각 부문 단체들이 주관하게 될 것"이라며 대책회의 차원에서 더 이상 평일 촛불집회를 개최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박 실장 등 촛불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된 대책회의 관계자 6명은 6일 새벽 조계사로 피신해 무기한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