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남북, 동해안 北수역서 어로 협력

개성평화협력지대·개성공단 활성화는 합의 못해

남북 양측은 동해안 북측 수역에서 어로ㆍ양식ㆍ수산물 가공 협력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하지만 당초 논의 가능성이 제기됐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와 개성공단 활성화 방안은 군사적 문제들을 이유로 북측이 난색을 표하면서 합의를 이루는 데 실패했다.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남측 대표단과 전승훈 내각 부총리를 단장으로 하는 북측 대표단은 6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 제1차 회의 종결회의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10개항의 합의서에 서명했다. 남북 대표단은 합의문에서 ▦조선ㆍ해운 ▦개성공단 ▦농수산 ▦보건의료 등 4개 분과위원회를 이달 안에 열기로 했다. 우선 오는 14일부터 이틀간 농수산 분과위를 개최하고 이 자리에서 동해의 일정한 수역에서 어로, 수산물 가공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아울러 이달 중 안변과 남포 조선협력단지 건설과 함경남도 단천 지역 광산 개발을 위한 현지조사를 벌이기로 합의하는 데도 성공했다. 경협제도 분과와 자원개발협력 분과 등 2개 분과위도 새로 만들기로 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그러나 차관급이 맡아왔던 경제협력추진위원회를 부총리가 위원장인 경협공동위로 격상시키기로 한 뒤 이뤄진 남북 경제 수뇌의 첫 회담이어서 기존에 발표되지 않은 새로운 남북경제협력 사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크게 진전된 협력안이 나오지는 않았다. 특히 개성공단 등 남북 모두 큰 애착을 보인 사안은 물론 2007 남북정상회담의 큰 골격이었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에 관해서는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협상 과정에서 난항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 활성화 방안의 경우 우리 측은 ‘연중 상시 출입’을 허용한다는 내용을 합의문에 담자고 요구했지만 북측은 군사적 세부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당초 오전10시에 열릴 예정이던 종결회의는 오후로 미뤄졌고 합의문 발표 시각도 순연됐다. 한편 남북은 내년 상반기 중 평양에서 경제협력공동위원회 2차 회의를 열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