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003 상반기 서경 베스트히트상품] 창의력ㆍ앞선 기술로 `명품`대열에

초일류기업은 베스트상품을 갖고 있으며 베스트상품은 초일류기업을 만들어낸다. 베스트상품은 대개 고객에게 기대이상의 가치를 제공해 폭발적인 수요를 창출하고 높은 이윤을 보장하는 제품을 말한다. 해마다 선정되지만 베스트상품은 모든 면에서 뛰어나고 경쟁력이 돋보이는 등 말 그대로 가장 좋은(BEST) 제품들이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연령층의 고객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은 물론 앞선 기술ㆍ창의력과 건강컨셉의 기능성이 우선시된 상품들이 대박전선에 나섰다. 서울경제신문이 올 상반기 선정한 베스트 상품도 이 같은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베스트 상품은 경기를 타지않고 꾸준한 매출신장세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각 업계의 효자상품으로 자리매김한지 오래다. 이 같은 상품은 소비자 욕구가 주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변화하더라도 첨단기술, 신기능, 감성요소, 유통전략 등의 면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 `세계 최초`라는 기술력을 앞세워 국내시장은 물론 세계시장을 평정, 세계 일류 명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거나 뛰어넘은 상품들도 눈에 띄었다. ◇다양한 고객욕구를 만족시켜라=“실용성은 기본이고 고객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다 만들어야 한다”히트상품의 반열에 오른 제품들은 고객들의 마술사가 될 정도로 까다롭고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무조건 충족시켜줘야 한다. 지난 98년 `파브`를 탄생시킨 삼성전자의 차세대 영상기술 `DNIe`가 대표적인 예다. DNIe 기술은 소비자들의 대화면ㆍ고화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삼성전자 TV 30여년의 결정체로 보인다. DNIe 기술은 자연 그대로의 이미지와 최상의 화질을 재현하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기술을 앞세워 올해 전세계 디지털 시장에서 작년보다 3배나 늘어난 150만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또 세계 에어컨시장에서 3년연속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는 LG전자의 `휘센`도 초절전시스템을 채택, 최대 65%의 절전효과가 있어 주부들의 실용성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있는 사례다. 하이트맥주도 온도계 마크, 신호등 라벨, 음용 최적온도를 알려주는 IC캔 등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있다. ◇차별화된 기술과 창의력으로 승부를 걸어라=세계시장을 주름잡을만한 앞선 기술과 반짝이는 아이디어 등은 대박상품의 지름길이다. LG전자의 `트롬`은 세계 최초로 벨트없이 모터가 직접 드럼을 구동하는 `DDM`시스템을 적용, 소음과 진동을 대폭 줄인데다 ▲제품군 다양 ▲가격 저렴 등을 통해 입증된 불황기의 히트상품이다. 10여년전부터 기술개발에 매달려온 LG전자의 높은 기술력이 진가를 발휘한 케이스다. 특히 동양매직이 3년간 20억원을 투입, 지난해 출시한 세계 최초의 디지털 가스오븐레인지 `아델리어`는 가스기기에도 디지털을 접목시킨 첨단 레인지로, 기존 가스오븐레인지보다 가격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월 평균 50대 이상이 판매되는 등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또 세계 최초의 `센트리노` 노트북PC인 삼성전자의 `센스X 10`도 기술력이 돋보인 경우다. 고객 성향을 분석해 요일별로 메인 페이지를 달리 구성하는 CJ몰(www.cjmall.com)의 멀티메인 서비스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다. ◇기능성이 우선돼야 한다=“확실한 기능이 하나만 있으면 히트상품군에 포함된다”식이섬유 등 기능성분이 보강된 롯데칠성음료의 `2%부족할때 DBH`와 항암 등의 다양한 효능을 지닌 국내 최초의 천연 셀레늄이 함유된 서울우유 `셀크`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위ㆍ장 보호 복합기능 발효유인 매일유업의 구트와 충치균을 살균하는 3세대 기능성껌인 동양제과의 스캐빈저도 이런 유형에 속한다. <양정록기자 jryang@sed.co.kr>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