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핵실험 파괴력 6~7kt추정…”증폭핵분열탄으로 보기 어려워”

북한이 12일 실시한 3차 핵실험 파괴력이 TNT 6~7kt(킬로톤)으로 지난 1, 2차 핵실험 때보다 파괴력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수소폭탄 전 단계인‘증폭핵분열탄’의 규모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 핵실험 직후 가진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11시 57분경에 북한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인근에서 규모 4.9로 추정되는 지진이 관측됐다”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평가한 진도가 4.9이고 이를 핵폭탄으로 환산하면 폭발 규모는 6~7kt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06년 1차 핵실험 때는 진도 3.6에 파괴력은 1kt, 2009년 2차 핵실험 때는 진도 4.5에 파괴력은 2~6kt으로 추정됐다.

김 대변인은 “파괴력이 10kt 이상 나와야 아주 정상적인 폭발인데 6~7kt이면 파괴력이 조금 적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3차 핵실험의 위력은 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됐던 핵폭탄 위력(13kt)의 절반 수준이다.

관련기사



군 관계자는 “이 정도 파괴력이면 수소폭탄의 전 단계인 증폭핵분열탄(boosted fission weapon)으로 보기도 어렵다”고 평가했다.

김 대변인은 핵실험 이후 군의 대비태세와 관련, “우리 군은 북한이 핵실험으로 추정되는 실험을 실시함에 따라 국방장관 주관으로 ‘국방위기관리위원회’를 즉각 소집했다”며 “전 군의 경계태세를 2급으로 격상시켜서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 또 북한이 전날 중국과 미국에 핵실험 통보를 했다는 보도에 대해 “우리(군 당국)도 파악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핵실험 여부에 대한 최종확인 결과에 따라 한미동맹 및 국제사회와 공조해 강력히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