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소통은 정치권에만 필요한 게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정치권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소통정치에 나선 모양이다. 박 대통령은 9일과 10일 청와대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포함한 여당 지도부, 국회의장단과 잇따라 비공개 회동을 한 데 이어 12일에는 민주통합당 지도부와도 만나기로 했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경제와 안보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대화 채널을 본격 가동한 것으로 보인다. 반가운 일이다. 진솔한 논의로 정치를 복원시켜 국민의 불안감을 씻어주기 바란다.


박 대통령은 여당 지도부와의 만찬회동에서 "당의 의견을 많이 듣겠다"고 말했다 한다. 두 차례나 회동 요청을 거부한 야당도 박 대통령과의 만남을 앞두고 "허심탄회한 대화 속에 국민을 안심시키는 결론을 도출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도 야당도 소통을 중시하겠다니 사전 분위기는 무르익은 셈이다. 부디 성과를 거두기 바란다.

관련기사



하지만 박 대통령의 행보가 정치권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국민과 단절된 모습을 보이면서 박 대통령의 지지도는 40%대에 머물고 있다. 나만 옳다는 편견과 고집이 낳은 결과다.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국회의원으로 있을 때 '선거의 여왕'이라고 불렸던 것은 국민의 마음을 누구보다 잘 헤아렸기 때문이다. 지금은 그 초심을 다시 살려야 할 때다.

기업의 마음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마침 다음달 중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등 재계와 만남의 자리를 가질 예정이라는 소리가 들린다. 그러나 대통령이 투자와 일자리를 촉구하고 재계에서 '예'라고 대답하는, 늘 있던 그렇고 그런 만남은 안 된다. 산업현장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투자와 일자리를 많이 창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기업인들로부터 생생하게 전해 들을 수 있는 자리가 돼야 한다.

우리를 둘러싼 주변환경이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다. 경기침체도 벗어나야 하고 북한의 위협에도 흔들림 없이 대처해야 한다. 여야만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구성하는 모든 이를 아우르는 대통합이 필요한 이유다. 대통령의 소통 대상은 정치권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