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강남vs非강남' 소득·학력·생활 격차 여전

서울시 '2004 서울서베이' 결과 발표

서울 강남 지역과 비(非)강남 지역 간 소득.학력.생활수준 등 격차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한달간 서울 거주 15세 이상 시민 5만여명(2만여 가구)과5천여개 사업체를 방문, 설문조사한 `2004 서울서베이'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역별 편차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 전체를 ▲도심권(종로.중구.용산) ▲동북권(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 ▲동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 ▲서남권(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 관악) 등 5개 권역으로 나눠 진행했다. 가구주가 4년제 대졸 이상인 비율을 보면 동남권이 36.1%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서남권(24.8%), 도심권(22.6%), 동북권(22.3%), 서북권(21.1%) 순이었다. 이같은 학력 차이는 소득 격차로 계승돼, 월소득 400만원 이상 가구 비율도 동남권이 타권역의 두배 수준인 20.1%로 수위에 올랐고 이어 도심권.서남권(10.5%),동북권(8.8%), 서북권(8.7%) 순이었다. 아파트에 사는 가구 비율도 동남권(51.8%)-동북권(40.0%)-서남권(38.0%)-도심권(25.5%)-서북권(20.7%) 순으로 나타났다. 동남권은 또 사교육비 비중이나 개인용 컴퓨터(PC) 보유율에서도 각각 16.0%, 91.2%로 1위에 올라 가장 낮은 도심권(11.4%, 82.5%)과 큰 차이를 보였다. 컴퓨터나 인터넷 활용 능력, 영어 구사력에서도 동남권 거주자들은 타 권역을크게 앞질렀다. 이처럼 풍요로운 물적 기반은 삶의 질 만족도에 반영돼, 주거환경이나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동남권이 10점 만점에 각각 6.1점, 5.9점으로 가장 높았다. 자기개발에 대한 노력도 동남권 주민들이 가장 많이 기울여, 건강 관리를 하지않는다 비율(15.2%)과 흡연율(21.2%)이 가장 낮은 반면 미술관이나 공연장, 영화관,스포츠 경기장 등을 찾는 문화소비 수준은 타 지역을 압도했다. 건강 관리를 하지 않고 담배를 가장 많이 피우면서 문화소비 수준이 가장 낮은지역은 동북권이었다. 건강, 재정, 친구관계 등에 대한 체감 행복지수는 권역별로 6.3∼6.6점(10점 만점)의 분포를 보여 큰 편차가 없었다. 하지만 행복지수에서 동남권(6.5점)보다 도심권(6.6점)이 더 높게 나타나, 객관적 삶의 수준이 주관적인 행복감과 정비례하지는 않음을 보여줬다. `가난은 사회제도의 문제'라는 사회적 인식 비율은 권역별로 비슷하게 나타난데 반해 `노인 복지를 위해 세금을 늘려야한다'는 명제에 대해선 동남권이 5.6점으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고, 서북권이 5.1점으로 가장 낮았다. 서북권은 그러나 자원봉사 활동 비율에서는 2위인 동남권(16.7%)을 제치고 1위(17.3%)에 올랐다. 동남권은 이밖에도 예산 규모나 사설학원 수, 교육재정 지원액, 고졸생의 대학진학률, 아파트 분포 비율, 평당 아파트 가격 등에서도 1위에 올랐다. 다만 평당 아파트 가격의 지난 1년간 하락폭은 동남권이 가장 컸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