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북 지자체 '제2 유치전' 돌입

'김천 혁신도시 일부 공공기관' 타지역 분산이전 추진

경북도와 경북도혁신도시입지선정위원회가 김천이 경북의 혁신도시 입지로 결정된 후 ‘일부 공공기관의 타 지역 개별 이전’ 방침을 밝히고 나서면서 기초 지자체들이 혁신도시에 이어 ‘제2의 유치전’에 돌입, 지역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혁신도시로 선정된 김천은 난데없는 개별이전 방침에 대해 즉각 반발하고 나섰고, 탈락지역은 개별 유치에 다시 기대를 걸면서 유치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홍철 경북 혁신도시입지선정위원장은 지난 13일 혁신도시 발표 이후 균형발전과 효율성면에서 일부 공공기관의 김천 외 이전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홍 위원장은 이날 사견임을 전제로 “영천에는 교통안전공단이, 경북 북부지역에는 한국전력기술㈜가 각각 이전한다면 지역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개별이전기관과 지역까지 거론했다. 영천은 울산ㆍ경주과 연계해 자동차 산업밸트가 구축돼 있는 만큼 교통안전공단이 이전하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고, 세계적인 원자력 설계기술을 가진 한국전력기술이 원전이 위치한 북부지방으로 온다면 낙후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경북도도 공공기관을 몇 개 시ㆍ도로 분산하면 균형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 정부 건의 등 개별이전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한나라당 경북도당도 혁신도시 발표 직후 논평을 통해 “13개 공공기관 중 5~6개는 혁신도시 유치 탈락 지역에 차등 분산 배치해야 한다”며 개별이전에 힘을 실었다. 이 같은 분산배치 의견이 제기되면서 김근수 상주시장과 혁신도시 상주유치범시민추진위 관계자들은 지난 15일 도청을 방문, 분산배치 등 혁신도시 탈락에 대한 도 차원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안동시도 한국전력기술의 안동 개별 이전을 위해 본격 나섰으며, 혁신도시영천유치범시민연대는 ‘혁신도시 분산배치 유치위원회’로 전환, 유치전에 돌입했다. 그러나 개별이전은 일괄배치를 적극 희망하고 있는 이전기관 및 노조와 합의는 물론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야 해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한 기본협약과 지침에 따라 지역특성 및 이전기관의 특수성이 인정되는 경우 개별이전도 가능하다”며 “공식 건의가 이뤄지면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