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두뇌한국21] "경쟁력 갖춘 대학 집중지원"

그러나 지역우수대학 및 핵심분야 육성사업 등에서는 가급적 많은 대학을 선정함으로써 당초 취지에는 빗나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가장 많은 돈이 들어가는 과학기술분야 지원사업을 특정대학이 「싹쓸이」함으로써 선정대상에서 탈락한 대학이 벌써부터 반발하는 등 이 사업에 대한 논란과 후유증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선정 결과=연간 900억원이 지원되는 과학기술분야 대학원 육성사업분야에선 서울대가 12개 부문, 포항공대는 3개 분야, KAIST는 6개분야에서 광주과학기술원과 공동신청해 지원대상으로 결정됐다. 연간 500억원을 지원하는 지역우수대학 육성사업은 부산의 경우 부경대(기계)와 부산대(정보기술)가 뽑히는 등 대부분 국립대 위주로 선정됐다. 전문대학원을 육성하는 특화사업에서는 경기대(건축전문대학원) 등 12개 사업단이 선정돼 연간 150억원을 받게 됐고 345억원이 투입되는 핵심분야 지원사업에는 332개 팀이 신청, 241팀이 최종 선정됐다. 한편 김덕중(金德中)교육부장관이 총장으로 재직했던 아주대가 과학기술분야에서 분자과학기술에 단독 신청서를 내 선정됐고 특화사업(정보통신전문대학원)에서도 지원을 받게돼 눈길을 끌었다. ◇기대효과=이 사업의 초점이 학문후속세대 양성에 맞춰진 만큼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정보기술, 생명공학 등 첨단분야에서 세계적 연구경쟁력을 갖춘 박사급 인력이 연간 2,000명씩 배출된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대학·분야의 석사과정에는 월 40만원, 박사과정에는 60만원의 연구지원비도 주어진다. 특히 서울대가 대학원 중심으로 탈바꿈해 정원을 현재의 4,910명에서 오는 2002년까지 1,250명 줄이기로 함으로써 국내 대학체제와 입시판도에도 상당한 변화를 몰고 올 전망이다. ◇공정성 시비 논란=탈락한 대학과 처음부터 이 사업에 반발했던 교수협의회 등을 중심으로 세금으로 특정대학을 지원한다는 점을 들어 극심한 반발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전국 국·공립대 및 사립대 교수협의회 등은 이 사업을 『교수들의 참여를 배제한 채 교육관료들이 급조한 임시 미봉책일 뿐만 아니라 대학 전반의 황폐화를 초래할 잘못된 정책이므로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고려대학이 과학기술분야에 생명공학분야를 농생명분야로 신청했다 뒤늦게 정정해 요청한 데 대해 기획조정위원회가 수용함으로써 벌써부터 기타 소속의 생명공학분야로 전환한 것으로 둘러싸고 공정성시비가 일고 있다. 사업대상을 선정한 기획조정위원회 관계자는 『심사전에 고려대가 내부사정으로 정정요청을 해 반영했기 때문에 심사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오현환기자HHOH@SED.CO.KR

관련기사



오현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