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인터넷, 언론·정치 큰 변화 초래"

언론인보호委 "기성 언론매체와 대조되는 다양한 시각 제공"

미 뉴욕에 본부를 둔 국제언론단체인 언론인보호위원회(CPJ)는 14일 발표한 연례보고서에서 한국의 인터넷 언론매체들이 다양한 시각을 풍부하게 제공함으로써 한국 언론과 정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한국의 인터넷 언론 발전에 주목했다. CPJ는 보고서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75%)을 가진 한국에선 인터넷이 언론과 정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오마이뉴스같은 온라인 매체들은 아직 책임성과 윤리성의 문제를 안고 씨름하고 있지만 `시민기자제'도입 등을 통해 이념적으로 고착된 기성 언론매체와 대조되는 다양한 시각을 제공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한국 언론인들의 말을 인용, 인터넷 뉴스 사이트가 재정적인 면에서도 기성 신문과 TV방송사에 도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인터넷이 한국의 활발한 정치지형에서 논평과 비평, 논쟁의 광장도 제공하고 있다"며, "2003년 주요 언론사들만 가입했던 청와대 기자실 폐지와 이같은 현상이 겹침으로써 더 많은 언론인들이 더 큰 접근성을 갖고 정부 관련뉴스를 보도하는 자유를 누리게 됐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한국 언론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보고서는 "적극적이고 다양한 매체들이 정치적으로 나뉜 가운데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탄핵 사건 등을 매우 활발하게 다뤘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탄핵 사건에 대한 한국 언론매체들의 `매우 활발한' 보도 활동을 "TV방송들은 국회에서 난투극을,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들'은 탄핵반대 시위를 다뤘고, 3대 보수 일간인 동아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는 대통령에 대한 신랄한 편집 논조를 꾸준히 이어갔다"고 묘사했다. 보고서는 인터넷에 바탕을 둔 혁신적인 뉴스보도로 한국의 언론매체에 새로운 관점이 추가됐으나, 열린우리당의 언론개혁법안이 우려를 낳았다며 우리당안이 지난해말 국회에서 한나라당에 의해 저지된 상황까지 다뤘다. (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