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박승 한은총재 "월가의 장사꾼 돼야"

외화자산 운용 전문성 강조


박승 한은총재 "월가의 장사꾼 돼야" 외화자산 운용 전문성 강조 박승 한국은행 총재가 “월가(街)의 장사꾼이 돼야 한다”며 외화자산 운용의 전문성을 강조해 비상한 관심을 모은다. 박 총재는 최근 한은 외자관리실 직원들과 가진 오찬에서 “(한은의 외화운용이) 세계 중앙은행 가운데 가장 우수한 편이지만 여기에 만족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는 것. 그는 “국제 투자은행과 경쟁할 정도의 운용역량을 확보해야 하는 게 아니냐“고 거듭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총재의 이 같은 발언은 ‘한은(BOK) 쇼크’이후 보유외환의 ‘다변화’가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나와 한은의 향후 보유외환 운용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임을 예고한다. 한은 관계자들에 따르면 박 총재는 ‘BOK 쇼크’ 이전부터 보유외환의 투자 대상물 확충과 리스크 관리 강화를 강조해왔다. 한은은 이에 따라 미 국채 외에도 주택저당증권(MBS) 및 우량 금융채 등 상대적으로 수익이 높은 곳에 투자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 신용등급 AA 이상 채권에만 머물러 있는 투자 대상 범위도 A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박 총재는 이어 “필요할 경우 외부에서 전문가를 영입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은은 향후 10년간 외화자산 운용업무의 발전목표를 수용하기 위한 ‘조직 및 인력운용혁신방안’을 오는 4월 중 확정,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66명인 외화자산 운용인력을 100명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혁신방안에는 외화자산 운용조직의 인사ㆍ급여를 차별화하고 국내외 전문가를 영입하는 문제가 포함돼 있다. 김민열 기자 mykim@sed.co.kr 입력시간 : 2005-03-22 18:4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