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장기임대가 일반아파트보다 비싸 논란

흥덕지구 '호반 베르디움'㎡당 341만원 달해<br>같은지역 분양가 보다 높아 주민들 거센 반발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건설한 장기 임대주택 가격이 오히려 일반 분양아파트보다 높게 책정된 것으로 분석돼 논란이 예상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호반건설이 지난해 용인 흥덕지구 5블록에 공급한 민간 임대주택(112㎡형)을 현재의 일반분양가로 계산하면 3억8,000만원인 것으로 계산됐다. 그러나 이는 지난해 이 업체가 같은 지역에서 분양한 일반아파트의 가격(3억5,000만원) 보다 높아 입주예정자들의 반발이 거세다. 이 임대아파트는 10년 후 분양 전환되며 초기에 2억330만원(A형 기준)을 임대 보증금을 내고 10년 후에 2억6,110만원을 추가로 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분양 전환금이 4억6,440만원인 셈이다. 또 10년 동안 매월 임대료로 52만8,000원을 내야 한다. 이를 현재 일반 분양가로 계산할 경우는 계약자가 10년간의 월 임대료를 일괄 납부한다고 가정해 분양 전환금에서 4,300만원 가량을 할인해 주고 10년 후에 낼 분양 전환금을 현재가치로 환산할 경우 총 납부 금액은 3억8,284만원이 된다. 보증금 2억330만원에 10년간 월 임대료 6,336만원을 더하고 할인된 분양 전환금의 현재가치 1억1,618만원을 플러스 했다. 이자율은 연 6.5%다. 이를 ㎡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341만원으로 이는 호반건설이 지난해 10월 같은 흥덕지구 14블록에서 공급했던 가격보다 ㎡당 20만원 가량 비싼 편이다. 이에 대해 입주 예정자들은 “임대 주택부지로 땅도 싸게 받았는데 건설사가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토지공사에 따르면 흥덕지구 14블록의 경우 토공이 공급한 원가는 ㎡당 133만원 선이었고 5블록은 임대주택 부지이기 때문에 원가의 80% 수준인 ㎡당 70만~80만원 수준에서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호반건설 관계자는 “10년 후 분양으로 전환할 때 건물의 감가상각을 감안해 감정가격을 매기는데 분양 전환금과 감정가격 중 낮은 가격으로 계약자는 분양 받게 된다”며 “현재의 분양 전환금은 확정된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