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상공인 지원社 14% 휴·폐업

지난해 소상공인 지원자금을 받은 업체중 14%가 휴ㆍ폐업 등으로 영업을 중지한 것으로 나타나다.19일 중소기업청이 지난해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대출 받은 1만4,0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후관리 결과보고에 따르면 현재 휴ㆍ폐업 등 사업을 중지하고 있는 업체는 2,000여개로 전체의 1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중지 사유로는 경기침체가 578개업체(28.5%)로 가장 많았고 경험부족이 298개(14.7%), 경쟁심화 264개(13.0%), 입지선정 잘못 227개(11.2%)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실패한 업체들의 평균 업력이 16개월에 불과하고 전체의 84.7%가 2년 이내에 사업을 그만 둔 것으로 나타나 사업시작 후 2년이 사업성패의 열쇠가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책자금 대출과정에서 보증서를 가져감에도 불구하고 은행이 추가담보 또는 보증인을 요구하는 관행도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대출과정에서 보증인 또는 담보를 요구 받은 경우는 전체의 33.4%를 기록했고 구속성 예금을 요구하는 경우도 5.6%에 달했다. 한편 정상영업을 하는 소상공인들은 매월 2,170만원의 매출과 402만원의 순수익을 올려 평균 수익률이 18.5%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영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