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건설노조 파업 조기 타결되나

임대료 현실화·표준계약서 개선등<br>정부와 협상서 상당부분 의견접근

16일 파업에 들어간 건설기계노조가 “정부 측이 임대차계약서와 관련된 진전된 안을 제시했다”고 평가해 파업이 조기에 끝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건설노조 측은 16~17일 상경투쟁을 벌인 뒤 18일부터는 지역별ㆍ현장별로 투쟁하겠다는 일정을 밝혀 이 같은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건설기계 파업은 왜=건설기계노조의 요구사항은 건설기계장비 임대료의 현실화와 이를 공식적으로 보장하는 임대차 표준계약서의 개선이다. 건설기계노조는 지난 8일 정부가 발표한 고유가 민생종합대책에 건설기계 관련 부분이 유독 빠졌다며 파업 의사를 노골적으로 밝혀왔다. 그동안 건설기계의 낮은 임대료 등으로 불만이 쌓여왔던 터에 정부의 민생종합대책에서마저 제외되면서 직접적인 행동에 나선 것이다. 실제 전국적인 파업은 건설기계노조 소속(1만5,000여대) 이외에 비조합원 상당수가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경투쟁 3일에서 2일로 축소=건설기계노조가 무기한 파업을 천명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국토해양부와 건설기계노조 사이에 파업 해결을 위한 의견 조율이 상당 부분 진행됐다는 의견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노조는 현재 처음의 강경했던 입장에서 일단 한발짝 물러서는 분위기이다. 정부가 약속한 건설기계 임대차계약서가 ‘진전된 방안’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노조 측은 이 같은 표준계약서가 현장에서 이행되는지는 별개의 문제라고 보고 16~17일 상경투쟁을 마치고 18일부터는 현장에서 파업을 계속하면서 정부의 약속 이행 여부를 지켜보기로 했다. 국토부는 노조가 상경투쟁을 이틀만 벌이고 지역별 투쟁으로 전환하기로 한 것에 대해 사실상 파업이 이틀 만에 끝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박상규 건설정책관은 “지금 노조와 크게 쟁점이 되는 사항은 없다”며 “현장별ㆍ지역별 투쟁으로 전환하기로 함에 따라 이틀 만에 파업이 끝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