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 국방 “대북방송 AM 전환, 라디오 살포 준비”

국회 국감서, 확성기 현 11곳서 추가 3곳 설치 가능

김태영 국방장관이 5일 “대북 심리전방송을 FM에서 AM 방식으로 전환하고 북한지역에서 이를 청취할 수 있도록 라디오를 살포하는 작전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의 국방부와 합참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정미경 한나라당 의원의 '대북 심리전을 대국민 약속대로 시행해야 하지 않느냐'는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김 장관은 이어 “과거에 (북한지역에) 라디오를 많이 보냈다"며 "이번에도 대북 전단 살포 작전과 겸해서 라디오의 물포(물자살포) 작전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대북 확성기 방송이 11곳에 설치되어 있지만 1개소에 1,3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되어 추가로 3곳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1개소에 13억정도 소요되는 전광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대북 확성기를 11곳에 설치한 것으로도 북한에 심리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다"며 "북한의 새로운 도발이 있고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는 정치적인 판단이 있을 때는 확성기 방송을 시행하고 인쇄되어 있는 대북전단을 즉시 살포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또 북한의 EMP(핵전자기펄스)탄 개발 가능성과 관련, 김 장관은 "북한이 이를 가지고 있는지, 아직까지 시험하고 있다는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계속 추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EMP가 생소한 것처럼 기술도 초기단계라서 우리도 세부적으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2013년까지 국가중요시설에 EMP 방호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EMP는 핵무기가 폭발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만약 동해 40∼60㎞ 상공에서 20kt급(1kt은 TNT 1천t의 위력) 핵무기가 터지면 전자기파가 방출돼 반경 100km의 전자장비가 손상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김 장관은 김동성 한나라당 의원의 'GPS 전파교란 대응책' 질문에 “북한의 GPS 재밍(전파교란)은 새로운 위협이기 때문에 앞으로 확인할 부분이 많이 있다"면서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북한이 50~100㎞의 범위에서 GPS 전파교란을 할 수 있고, 재밍 능력이 있다는 첩보가 있다”며 “북한이 러시아에서 수입한 차량 탑재장비로 교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