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정유등 12개社 신규지정

금감원, 올 60대 주채무계열 선정현대정유 등 12개 계열이 금융감독원이 27일 내놓은 「60대 주채무계열」에 포함됐다. 반면 LG계열에 편입된 데이콤과 인천제철로 합병된 강원산업 등 9개사는 제외됐다. 지난해 워크아웃에 들어간 대우계열은 기업집단이 해체되는 대신 ㈜대우 등 3개사가 별도의 기업군을 형성, 60대 계열 안에 신규 편입됐다. 금융감독원은 27일 지난해 말 현재 종금·보험을 포함한 금융권의 신용공여 잔액을 기준으로 상위 60개 계열을 올해 주채무계열로 선정, 발표했다. 신규 선정된 12개 계열은 ㈜대우(3위), 현대정유(11위), 대우전자(12위), 대우자동차판매(28위), 에쓰오일(31위), 일동제약(49위), 이수화학(50위), 코리아데이타시스템스(51위), 농심(53위), 세아제강(56위), 대한펄프(58위), 동방(60위) 등이다. 이들 12개 계열은 앞으로 주채권은행과 차입금상환계획을 포함한 부채비율 감축계획과 계열 전체의 구조조정·지배구조 개선계획 등을 담은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신규로 체결해야 하는 등 고강도 경영감독을 받게 된다. 반면 올해 선정대상에서 빠진 9개 계열 중 대우는 그룹해체로, 강원산업은 현대계열과 인천제철의 합병으로, 데이콤은 LG계열 편입, 대동주택은 화의신청으로 각각 제외됐다. 이밖에 부영·풍림산업·대림수산·금강·대한방직 등은 각각 신용공여 규모의 미달로 제외됐다. 5대 계열 중에서는 현대가 지난해 말 현재 총신용공여 21조7,405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1위를 기록했고 대우그룹의 제외로 삼성(12조7,399억원)이 3위에서 2위로 올라섰으며 이어 ㈜대우(10조9,832억원), LG(9조1,780억원), SK(7조4,427억원) 등의 순이었다. SK는 98년 6위에서 5위로 1단계 높아진 반면 한진(5조6,369억원)은 SK에 5위자리를 넘기고 6위로 내려앉았다. 대우는 그룹해체로 ㈜대우(2개사, ㈜대우·대우개발), 대우전자(3개사, 대우전자·대우모터공업·대우전자서비스), 대우자동차판매(3개사, 대우자판다이너스클럽코리아·유화개발)가 각각 별도의 계열기업군을 형성, 주채무계열로 선정됐다. 은행권은 주채무계열 소속 기업체의 신규 채무보증을 담보로 당해 계열 소속 기업체에 대한 여신을 취급할 수 없다. 한편 이들 60대 계열에 대한 신용공여 규모는 총 124조989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부터 여신규모를 산정하는 금융기관 범위에는 은행 외에 종금사와 보험사를 포함시켰으며 여신범위도 종전 대출금 및 확정지급보증에다 사모사채·기업어음(CP) 및 미확정 지급보증·매입외환 등을 추가했다. 김영기기자YGKIM@SED.CO.KR 입력시간 2000/04/27 18:12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