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바이오스타 프로젝트' 빛 본다

SK 통증치료제 美서 임상 1상 추진등 지원효과<br>LG생명과학 당뇨치료제등 3건은 상업화 수준<br>지경부, 올 신규과제 6건에 44억 투입키로


바이오 신약 생산과 산업화를 촉진하는 ‘바이오스타 프로젝트’ 사업이 빛을 발하고 있다. 바이오스타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았던 SK의 통증치료제는 미국에서 임상실험 1상을 추진하고 있고, 간질치료제는 국내 제2호의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신약 시판허가를 신청했다. 또 LG생명과학의 당뇨치료제(국내 임상 2상 중), 메디포스트의 연골재생 세포치료제(국내 임상 3상 중), 바이넥스의 항암면역치료제(국내 임상 2상 중) 등 3건이 신약개발 단계 중 상업화에 가까운 수준에 도달해 2~5년 내에 제품화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항체치료제 전문인 이수앱지스는 바이오벤처로는 네 번째로 기술성 평가를 거쳐 코스닥에 상장될 예정이다. 윤수영 지식경제부 산업정책관은 28일 “바이오스타 프로젝트는 전임상, 임상 1ㆍ2상 사업을 지원하고 있는데 임상 1상만 완료해도 가치가 1,000억원 안팎으로 급증한다”면서 “2~3년 내 출시될 제품도 3개나 돼 지원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정책관은 이어 “이미 지원한 10개 과제(2005년 5개, 2007년 5개)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지원 1~3년 만에 7개 기업이 임상 1상을 진행하거나 완료해 순수 국산 신약개발의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경부는 올해 지원할 신규과제 6개도 선정했다. 6건의 신규과제에는 연내에 44억원의 자금이 지원된다. 지난 2005년 시작된 바이오스타 프로젝트는 SK 통증치료제 등 10건의 사업을 발굴, 모두 304억원이 지원되고 있다. 이번에 새로 선정된 사업은 ▦아토피 및 염증성 대장염 치료제(아모레퍼시픽) ▦구강건조증 치료제(카이노스메드) ▦발모신약(오리엔트바이오) ▦보툴리눔 독소제품(메디톡스) ▦심혈관질환 치료제(바이로메드) ▦뇌졸중 치료제(신풍제약) 등이다. 지경부는 올해 과제를 신약개발의 가시적 성공 사례를 창출하기 위해 지원기간을 5년 단일지원방식에서 3년 또는 5년 지원으로, 지원대상을 바이오신약 위주에서 저분자 의약품, 천연물 의약품 등으로 다양화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바이오스타 프로젝트에 선정되면 정부에서 자금도 지원 받을 수 있지만 외부투자를 끌어들이거나 국내외 기술협력이 용이해 신약개발이 용이해진다”고 말했다. 바이오스타 프로젝트가 시작된 2005년 이후 외부투자를 포함한 기술투자는 277억원 순증했고, 국내외 기술협력은 2005년 13건에서 지난해 48건으로 급증했다. /이철균기자 fusioncj@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