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물가지표 변경 놓고 이견 분분

12일 한국은행 이성태 총재가 물가지표 변경을 시사하면서 이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총재는 이날 한국은행 창립 56주년 기념사를 통해 "내년부터 적용될 새로운 물가안정목표는 정책의 파급 시차 등을 감안할 때 조기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제도 운영 경험과 물가 여건의 구조적 변화를 감안해 대상지표와 목표 수준을합리적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의 이같은 발언은 현재 물가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근원인플레이션을 다른 지표로 바꾸거나 근원인플레이션 목표를 하향조정하는 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금융가는 특히 이 총재의 발언이 물가를 좀 더 미세하게 반영하는 경향이 있는 소비자물가지수(CPI)로 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올들어 근원인플레이션은 월별로 1.6~2.0%를 기록해온 반면 CPI는 고유가 등의원인으로 2.0~2.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내왔다. 한은은 고유가 등으로 물가 인상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여러 차례 코멘트를내놨지만 근원인플레이션으로 따지면 현재 물가안정목표가 2.5~3.5%에 크게 미치지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 총재는 이날 또 "2000년 들어 세계적인 저물가 현상이 자리잡아 감에 따라 물가 안정에 대한 인식을 새로 할 필요가 있다"며 "종래의 시각으로 물가안정 문제에 접근하면 자칫 유동성의 과잉 공급을 초래할 수 있다"고 언급, 저물가 현상을 수치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 이같은 그의 발언은 물가지표를 교체하지 않는다면 물가 안정 목표를 낮추는 방안도 가능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하지만 재정경제부는 물가 지표 교체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