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통 없이 죽음을…" 호스피스 이용 급증


‘행복하게 죽을 권리’

말기 암환자들의 고통을 줄이고 인간답게 죽을 권리를 주기 위해 도입된 호스피스 이용자 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16일 보건복지부 및 국립암센터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완화 의료(호스피스) 이용자수는 8,000명을 돌파했다. 연간 7만 여명에 이르는 암 질환 사망자 중 10~11%는 완화 의료를 통해 ‘고통 없는 죽음’을 맞고 있는 것이다. 호스피스 이용자 수가 5년 전 1,300여명, 전체 암사망자수의 2% 수준에 그치던 것에 비교해 큰 폭으로 늘어난 셈이다.

호스피스는 통증 및 증상 완화를 최우선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를 비롯해 환자와 가족을 도울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와 임종에 대비한 사별관리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호스피스 이용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무의미한 연명치료로 힘겹게 목숨을 이어가는 것보다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삶을 누리고 싶다는 욕구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송미옥 계명대 암센터 운영지원팀장은 “적극적인 통증 완화 치료를 통해 말기 암환자들의 고통을 줄여주는 것은 물론 각종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을 도입해 심리적, 환경적으로도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진료를 하고 있다”며 “환자의 가족들에게 경제적인 지원도 해주고, 가족이 없는 환자들에게 말벗이 돼 주는 등의 소소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아 만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일반인들의 인식도 많이 바뀌고 있다.

국립암센터 최진영 연구원은 “‘내 가족이 말기암에 걸릴 경우 호스피스 진료를 받겠느냐’는 질문에 2004년엔 56%가 하겠다고 답했지만 2008년에는 80% 이상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물론 아직 기반시설이나 질적인 측면에서 국내 완화의료가 나아갈 길은 멀다.

최진영 연구원은 “선진국은 환자 100만명 당 완화의료 병상이 50병상은 필요하다고 보는데 그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2,500병상이 필요하지만 720병상 수준에 그친다”며 “현재는 병동이나 독립형 의료기관에 한 해 호스피스 진료가 이뤄지고 있고 가정에서 돌봄을 받는 가정형이나 일반병원에서 팀제로 운영되는 호스피스케어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완화치료 대상 범위를 말기암환자뿐 아니라 다른 질병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송미옥 팀장은 “아직 암을 제외한 다른 질병은 진단의 정확성 등의 문제로 인해 완화치료를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하지만 외국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점차 다른 질병으로도 개념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