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하이닉스 부채탕감비율 이견… 정상화안 재수정

채권단회의 연기 가능성… 성사여부 여전히 불투명하이닉스반도체에 대한 신규지원에 불참하는 은행들에게 적용하는 탕감비율이 당초 70%에서 최대 85%안팎까지 대폭 상향조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초 31일로 예정된 채권금융기관협의회는 일단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은 29일 채권금융기관의 1조원 신규자금지원, 4조원 출자전환의 틀 속에서 불참은행에 대해 부채 70%탕감 및 나머지 30% 출자전환이란 종합정상화방안을 마련했으나 일부 은행들의 반발이 심하자 29일 오후 주요 채권은행 임원회의를 소집, 부채탕감 비율에 대한 재협의에 들어갔다. ◆ 선택의 폭 넓혀 '명분 쌓기' 채권단은 당초 채권은행들에 대해 1조원의 신규자금 지원(1안) 또는 기존 대출금 70% 탕감 및 30% 출자전환(2안) 방안 등 두가지 안을 놓고 하나를 선택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신규자금 지원이 도저히 불가능 하다면 기존 대손충당금 적립규모를 감안해 상당규모의 채권을 탕감해 주고 나머지는 출자전환을 통해 향후 주가상승을 노리면 된다는 것. 채권단은 또 출자전환 목표금액을 4조원으로 늘리고, 기존 채권의 금리를 최대 5%안팎까지 일괄 감면해 주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더 이상 기다릴 여유가 없어 일단 신규지원에 불참하는 은행들을 제외하는 것을 전제로 한 수정된 방안을 마련했다"며 "늦어도 내달 초까지는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성사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 국민ㆍ주택ㆍ신한 등 그동안 신규지원에 반대해 온 은행들은 그러나 이 같은 방안에 대해 부채탕감 비율이 너무 높다는 불만 섞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반면 한빛 조흥 등 신규지원 참여의사를 밝힌 은행들은 불참은행에 대한 탕감비율이 오히려 너무 낮다며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채권단은 이에 따라 주요 채권은행 임원회의를 통해 부채 탕감비율을 최대 청산가치를 고려한 수준까지 상향조정 하는 방안을 재추진키로 했다. 오는 11월말에나 실사결과가 나오지만 현재 대략의 예측치를 여기에 대입하면 탕감비율은 85%, 나머지 출자전환 비율은 15% 수준이 된다. 그러나 탕감비율 70%에도 반대해 온 일부 채권은행들이 오히려 상향조정된 탕감비율을 수용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한편 채권단은 이 같은 사정을 감안 채권단 회의를 주말 쯤으로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매수청구권 행사는 곧 지원안 부결 일부 채권은행들이 출자전환과 신규자금 지원을 모두 거부할 경우 일단 구조조정촉진법에서 정한 채권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는 있다. 만일 매수청구권을 행사하면 청산가치 등을 고려할 때 행사가격이 원금의 10%를 밑돌 것으로 예상되며 그나마도 현금이 아닌 5년만기 무이자 회사채로 받아야 한다. 사실상 장기간 동안 거의 회수 가능성이 없는 셈이다. 그러나 이 같은 계산은 사실상 무의미하다. 상당규모의 채권액을 갖고 있는 은행들이 매수청구권을 행사한다는 것은 곧 하이닉스 지원방안을 거부한다는 뜻이고, 그렇게 되면 채권단협의회를 통한 지원안 결의 자체가 부결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여전히 문제는 '불확실성' 외환 산업 한빛 조흥 등 하이닉스 지원에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은행이나 국민 주택 신한 등 신규지원 거부입장을 나타내고 있는 은행들 모두 기본적인 이유는 '하이닉스의 미래 및 반도체 산업의 불확실성'이다. 우선 지원이 필요하다는 쪽은 불확실성이 큰 만큼 이번 기회에 좀더 확실한 회생책을 마련,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하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신규지원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은행들은 불확실성이 큰 상태에서 무작정 돈을 쏟아 부을 수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젠 더 이상의 시한도 명분도 없는 상태에서 채권단이 과연 어떤 선택을 내릴 지 주목된다. 이진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