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KT&G 경영권 위협 일단은 막아냈지만

[사설] KT&G 경영권 위협 일단은 막아냈지만 17일 KT&G 주총에서 미국의 기업사냥꾼 스틸파트너스ㆍ칼 아이칸 연합과 기존 경영진간 표대결이 무승부로 끝남으로써 경영권 공방이 장기화할 전망이다. 최대 관심사였던 2명의 일반 사외이사 선임 투표에서 양측이 1명씩 나눠 가짐으로써 어느 쪽도 일방적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주총 전 안간힘을 다했지만 절대다수 주주의 지지를 얻지 못해 사외외사 1명은 내줄 것으로 예상했던 KT&G로서는 일단 선방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부터 길고 괴로운 싸움을 벌여야 할 판이다. 아이칸 측이 이사진에 자기 사람을 들여보내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물론 사외이사 한명으로 경영이 흔들리지는 않는다. 하지만 아이칸 측이 회사정보를 훨씬 쉽고 자세하게 알 수 있는데다 주요 사안에 대해 간섭하게 되면 경영행보가 힘들어질 게 뻔하다. 경영감시 강화로 투명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아이칸 측의 공세를 반드시 부정적으로 볼 일만은 아니다. 하지만 아이칸 측이 기업의 지속적 경영과 발전을 추구하는 전략적 투자자가 아니라 단기차익 위주의 투기성 자본이라는 점에서 그 부작용과 폐해는 긍정적 효과에 비할 수 없다. 아이칸 측은 KT&G에 대해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보유 부동산과 자회사인 인삼공사 매각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옛 담배공장 등 부동산은 여러 용도로 개발하면 그냥 땅으로 파는 것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인삼사업은 지금은 물론 앞으로 회사성장에 큰 도움이 될 분야다. 이런 자산과 사업을 팔아치우자는 것은 당장 주가상승을 통한 단기이익을 노린 것일 뿐 기업의 경쟁력이나 장기발전과는 거리가 멀다. ㈜SK에 대한 적대적 M&A 시도로 1조여원의 차익을 챙겨 떠난 소버린이 SK텔레콤 주식매각을 요구하던 것과 같은 양태다. 국내 간판기업의 상당수가 경영권 위협 가능성에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적대적 M&A는 성공 여부에 관계없이 그 시도만으로 기업에 엄청난 타격을 준다. 방어에 급급하다 보면 투자나 고용 등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 KT&G의 주총 결과는 기업들의 경영권 방어를 위해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새삼 보여준다. 입력시간 : 2006/03/17 16:2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