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은행들 PF 부실로 3조원 추가손실

박선숙 의원, 금감원 내부보고서 공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탓에 저축은행들이 3조원가량 추가 손실을 떠안은 것으로 추산됐다. 이 결과 8개 저축은행이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5% 미만으로 나타나 한때 ‘적기시정조치’(부실우려 저축은행의 정상화 조치) 대상에 분류됐다. 8일 국정조사특별위원회 박선숙 의원이 금융감독원 문서검증에서 확보한 내부보고서 ‘저축은행 PF 사업장 실태조사 및 처리방안’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의 PF 대출 필요적립금은 2조9,849억원으로 집계됐다. 필요적립금이란 금감원의 PF 전수조사로 추산된 부실채권의 대손충당금에서 저축은행들이 기존에 쌓아 둔 대손충당금을 뺀 금액이다. 지난 2008년과 2010년 전수조사에서 발생한 필요적립금 가운데 3,375억원과 1조5,474억원씩 남은 상황에서 올해 1조1,000억원이 추가됐다. 저축은행들이 전체 자기자본(5조1,000억원)의 약 60%에 달하는 3조원을 추가 손실로 인식해 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만큼 지금까지 저축은행들의 자체 건전성 분류가 ‘엉터리’로 이뤄졌음을 시사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경은저축은행의 경우 206억원의 필요적립금이 발생했지만, 경영권 분쟁을 벌이는 대주주의 자금조달 능력이 의심돼 지난 5일 영업정지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수조사에서 나타난 필요적립금은 85개 저축은행의 경영진단 결과 더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진행 중인 경영진단은 PF 대출의 건전성 분류 기준을 놓고 진단반과 저축은행 사이의 줄다리기가 치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건전성을 엄격히 분류해 최대한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는 게 당국의 입장이지만, 저축은행들은 당국이 정상적인 대출까지 부실로 분류하려 든다며 맞서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현 대주주들이 당국 요구대로 충당금을 쌓을 돈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못 쌓으면 경은저축은행처럼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PF 전수조사에서 부실이 대거 드러나면서 5개 저축은행의 BIS 비율이 5% 미만으로 떨어져 적기시정조치 대상에 분류됐다. 이 가운데 부산저축은행, 대전저축은행, 삼화저축은행 등 3곳은 결국 영업정지됐다. 올해 전수조사에서도 8개 저축은행이 적기시정조치 대상으로 분류됐다가 캠코에 부실채권을 매각하면서 조치를 모면했다. 그러나 경영진단 결과 충당금 적립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하반기부터 영업정지되는 저축은행이 대거 나타날 가능성은 여전하다. 박 의원은 “8개 저축은행 가운데 과연 몇 곳이나 정상화할지 미지수”라며 “부실에 따른 충당금 적립 기간을 5년으로 늘려준 것은 ‘폭탄 돌리기’”라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