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범포스코 노사 평화선언'은 동반성장 모델

포스코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 및 200여개 협력사들의 노사 평화선언은 해당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근로자들의 이익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이미지 개선 등 모두에 득이 되는 윈윈의 선언이다. 포스코와 150여개 협력업체 노사는 오늘 지역사회단체 및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범포스코 가족 노사 한마음 선포식’을 갖고 영구적인 노사평화를 선언한다. 이에 앞서 광양제철소와 50여 협력업체도 시민 등 1만8,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양 지역의 영구 산업평화 선포식을 가졌다. 포항은 지난해 포항 지역 건설노조의 포스코 본사 점거농성 등 강경투쟁으로 도시 전체가 큰 홍역을 치렀다. 포스코의 설비증설 일정 차질 등 회사의 물적 피해도 컸지만 83일간이나 계속된 파업으로 지역경제가 마비되다시피 해 주민들이 큰 어려움을 겪었다. 지역의 이미지도 적잖이 실추됐다. 그렇다고 노조가 크게 얻어낸 것도 없다. 오히려 많은 노조원들이 사법 처리되는 등 타격만 입었다. 모두에게 상처뿐인 투쟁이었다. 영구 노사평화 선언은 이에 대한 자각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대화와 타협이 아닌 갈등과 대립의 노사관계, 특히 극단적 투쟁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는 인식이 노사와 시민 등 지역사회 전체에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새로운 노사관계의 필요성을 절감한 것이다. 상생의 노사관계는 포스코의 경쟁력도 한층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 세계 철강시장에서는 기업간 인수합병(M&A) 등 덩치 키우기 경쟁과 함께 중국의 물량공세 등으로 전쟁을 방불케 하는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사관계가 불안하고 그 결과 생산성 등에 문제가 생긴다면 경쟁에서 이기기 어렵다. 협력업체가 튼튼하게 받쳐줘야 모기업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영구적 노사평화 선언이 울산 등 다른 도시, 다른 기업에도 확산돼야 한다. 그래야 기업과 지역경제가 활기를 띠고 국가경제도 살 수 있다. 강경투쟁 일변도였던 민주노총도 때마침 파업자제를 선언했다. 포항과 광양 지역의 노사평화 선언이 새로운 노사문화 정착의 기폭제가 되기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