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종편채널, 미디어렙에 포함시켜야"

민영방송 자체 광고영업 허용땐 방송광고시장 혼탁 우려 목소리


올 12월 종합편성채널의 본격적인 방송 개시를 앞두고 미디어렙 관련 법안이 국회에서 표류하며 미디어 광고 시장 혼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디어렙 (media representative)이란 지상파 방송의 광고영업을 공공기구가 대신하는 것을 말한다. 지금까지 국내 지상파 방송의 광고 영업은 공영 미디어렙인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가 대행해 왔다. ◇종편채널 광고영업 허용은 다양한 부작용 낳아 = 현재의 공영 미디어렙 체제가 각 민영 방송사마다 광고영업이 가능하도록 바뀌면 다양한 부작용을 낳을 것이란 지적이 많다. 우선 올 12월부터 본격적인 방송시작에 나서는 종합편성채널 문제이다. 자본금 3,000억 원 이상을 투입한 종편이 수익 보전을 위해 미디어렙이 아닌 자체 영업망을 기반으로 광고 수주에 나설 경우 갖가지 부작용이 예상된다. 우선 종편의 경우 기존 신문사의 영업 조직에 기대고 신문과 방송의 보도 기능을 활용해 무차별적인 광고 영업이 우려된다. 이와 함께 미디어렙을 거치지 않고 광고 시장에 직접 뛰어들 경우 상대적으로 영업력이 약한 군소 매체의 고사도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다양한 미디어 환경이 조성되지 않아 여론이 특정 환경으로 쏠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광고 영업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아 각종 기금 조성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최영목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종편의 경우 지상파처럼 의무 송신 채널로 선정돼 공공재적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미디어렙에 포함되는 것이 맞다"며 "특히 종편 사업자의 경우 신문과 방송을 같이 갖고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두 매체의 힘을 이용해 불공정한 경쟁을 할 수도 있어 미디어렙을 통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회논의 지지부진. 한나라당 미온적 = 이와 관련해 종편을 미디어렙에 포함시켜 시장 과열을 막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칼자루를 쥐고 있는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입장은 극명하게 엇갈리는 상황이다. 한나라당의 경우 미디어렙이 운영되더라도 초기 수입보전을 위해 종편은 미디어렙과 관계없이 자체 영업을 할 수 있게 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당은 1공영 1민영의 미디어렙 체제 도입을 골자로 종편도 반드시 미디어렙에 포함시켜 미디어 광고 시장의 혼란을 방지하자는 입장이다. 김경환 상지대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이 상태로 가면 미디어렙 자체가 무의미해져 언론 시장 혼탁이 예상되기 때문에 팔짱만 끼고 있는 한나라당 또한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며 "장기적으로는 종편뿐만이 아니라 향후 기존 케이블 업체까지 미디어렙에 포할될 수 있도록 해 투명성 제고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미디어렙 관련 법안은 총 6개다. 이들은 각각 미디어렙의 출범 형태에 대해 1공영 1민영 법안체제와 1공영 다민영 법안 체제로 엇갈리고 있으며 한선교 의원과 진성호 의원이 제출한 법안은 종편의 미디어렙 의무 위탁을 명시하지 않고 있다. 민주당은 6개 법안의 합의안을 도출해 이번달 내로 국회에서 통과시켜 미디어 광고시장의 혼탁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전병헌 의원 측은 "합의안이 어떤 형태로 도출될지 모르겠지만 종편이 미디어렙에 광고 영업을 의무 위탁하는 사항은 무조건 포함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미온적인 태도로 이번달에도 상황을 낙관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