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더비 경매서 한국작품 23점 낙찰

이우환 추상화 '무제' 는 16만8,000弗에 팔려


소더비 경매서 한국작품 23점 낙찰 이우환 추상화 '무제' 는 16만8,000弗에 팔려 31일(한국시간 4월1일) 뉴욕 경매회사 소더비가 처음으로 한ㆍ중ㆍ일 3개국의 현대미술품만 모아 처음 실시한 경매에는 국내 원로, 중견, 신진작가 24명이 25점을 출품(총 출품작 246점), 2점을 제외한 23점이 판매됐다. 홍콩 크리스티가 아닌 현대미술의 심장부인 뉴욕에서 한국작가의 작품이 20여점 한꺼번에 팔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원로작가 이우환(70)의 추상화 '무제(1982년작)'는 5만∼7만달러인 추정가의 3배에 가까운 16만8,000달러(한화 약 1억6,322만원)에 낙찰돼 이번 경매에 출품된 한국 미술품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물방울을 그리는 김창열(78) 화백의 1992년 작품은 3만5,000∼4만5,000달러였던 추정가보다 높은 5만400달러에, 사진작가 배병우의 모노톤 컬러 소나무 사진(2005년작)은 4만8,000달러로 역시 추정가보다 높게 거래됐다. 고영훈(3만6,000달러), 박서보(3만3,600달러), 김강용(2만1,600달러), 신성희(1만8,000달러) 등의 작품은 추정가 범위 또는 다소 높은 가격에 팔렸다. 한국 화단을 대표하는 원로ㆍ중견작가들의 작품이 성과를 거둔 것 못지 않게 30대 이하 젊은 작가들도 뉴욕 시장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점수를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홍경택(38)이 동양적인 책가도를 현대적으로 그려낸 유화 '서재Ⅰ'(1997년)은 추정가의 두배인 4만2,000달러에 팔렸고, 배준성(39)의 사진과 회화를 결합한 작품도 3만8,400달러로 추정가의 두배에 낙찰됐다. 30대 이하 작가 중에서는 초소형 조각을 하는 함진(28)의 '파리 날리는 소년'이 6,000∼8,000달러인 추정가를 훨씬 넘는 2만4,000달러, 극사실주의적으로 담배나 사탕을 그리는 안성하(29)의 작품이 2만2,800달러의 좋은 가격에 판매됐다. 중견조각가 이용덕의 움직이는 조각은 2만4,000달러, 박성태의 알루미늄 조형작업은 2만2,800달러, 노상균의 '부처의 장갑'은 3만3,600달러에 거래됐다. 이밖에 유승호, 김도균, 임영선, 하상림, 홍지연(2점), 이동기, 성낙희, 김민정의 작품도 판매됐으나 박윤영, 박미나의 작품은 유찰됐다. 입력시간 : 2006/04/02 15:4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