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환위기 그 후 10년] 외채, 최근 급증하는데…

"외환보유액 감안하면 '제2환란' 가능성 거의없다"


[외환위기 그 후 10년] 외채, 최근 급증하는데… "외환보유액 감안하면 '제2환란' 가능성 거의없다" 최형욱 기자 choihuk@sed.co.kr 관련기사 • 외채, 최근 급증하는데… • 경제지표를 통해 살펴본 변화 • '외환위기를 겪은 사람들" 돌아보니 • 전문가들이 내다본 한국경제좌표 “최근 외채 증가는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규모 등을 감안할 때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지금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외채 문제는 견딜 만하다.”(이성태 한국은행 총재) 지난 1997년 외환위기는 외국인들이 만기 외채의 상환을 요구한 게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렇다면 최근 외채 급증은 금융통화당국 두 수장의 발언처럼 안심해도 좋은 문제일까. 일단 외환보유액 규모나 외채의 성격 등을 감안할 때 ‘제2의 외환위기’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지적이다. 하지만 문제가 없는 것도 아니다. 최근 전세계적인 신용경색과 맞물려 달러 탈출이 시작되면 국내 금융시장이 큰 충격에 빠지면서 경기침체를 부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재경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외채는 올 6월 현재 3,111억달러이다. 1997년 9월 1,774억달러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었다. 이 가운데 만기가 1년 미만인 단기외채 비중은 1,379억달러로 총채무의 44.3%에 달한다. 1997년 당시 36.6%보다 오히려 더 높다. 외견만 봐서는 우려가 나올 만도 하지만 다른 게 더 많다. 외환보유액은 1997년 말 204억달러에서 지난 10월말 현재 2,601억달러로 13배로 늘었다. 이 때문에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의 경우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 9월 359%에 달했지만 지금은 55%(6월 현재)에 불과하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채는 35% 수준으로 영국(425%), 홍콩(269%), 독일(148%) 등보다 더 양호하고 일본(35%), 태국(29%)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외국인들의 외채상환 요구가 발생하더라도 10년 전과 같은 지급불능 사태에 빠질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는 뜻이다. 특히 앞으로 받을 달러를 전제로 외채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외채의 질(質)이 다르다. 1997년 외환위기 때 외채는 국내에 달러가 없어 외국에서 빌려온, 말 그대로 ‘빚더미’였다. 반면 최근 외채는 조선업체 수주나 해외 증권투자로 환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했다. 앞으로 들어올 달러를 미리 팔아치우면서 외채가 늘었지만 달러 유입이 보장돼 있다. 하지만 마냥 안심할 수도 없다. 외채 증가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대외채무는 2005년 156억달러 늘어나는 데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연간 755억달러나 늘었다. 올 들어 6월 말까지도 256억달러 증가했다. 이처럼 달러 유입속도가 빨라지면서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 우려도 커지고 있다. 원화가 고평가돼 있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지만 달러 유입 지속으로 환율이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외채 유입→선물환율 하락→재정거래 이익 증가→외채 유입’의 악순환 구조에 빠졌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거꾸로 달러가 일시에 빠져나가는 경우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지금은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부실 여파로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차이나 리스크, 신흥시장의 금융위기 등으로 달러가 강세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 외채는 환 리스크를 회피하거나 무위험 재정거래 이익을 위해 유입된 게 대부분이다. 환율 하락의 기대감이 꺾이는 순간 빠르게 들어온 달러가 더 빠른 속도로 빠져나갈 수도 있다. 이 경우 국내 증시ㆍ부동산 등 자산 가격의 급격한 하락, 해외 펀드의 손실 증가, 환율 상승으로 인한 물가급등 등을 야기하며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입력시간 : 2007/11/20 18:0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